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웹툰 콘텐츠 제공

이달의

  • 웹툰 경북 >영주시

    1부-부석사로 가는 비밀의 길
    영주 부석사의 창건설화인 선묘와 의상대사의 이야기를 그린 웹툰. 평범한 직장인 이대리가 재미삼아 삿갓을 쓰는 순간 의상대사를 만나 당나라 유학부터 부석사 창건까지의 길을 동행하는 이야기를 통해 부석사 창건기는 물론 무량수전, 탑, 불상, 석축 등 자연·문화유산 이야기를 조명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천년 사찰 부석사의 숨겨진 이야기와 감동을 담은 콘텐츠.
  • 웹툰 광주 >서구

    광주근현대 여성운동가(1) 김귀선
    꼬두메 야학과 들불야학을 조직해 헌신한 ‘님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 박기순 여성운동가의 삶을 만화로 구성한 콘텐츠
  • 웹툰

    이부불열녀(상)
    병든 남편과 정처 없이 떠돌던 여인에게 부자가 자식을 낳아주면 그녀와 남편을 돌봐주겠다고 한다. 남편은 고민 끝에 그렇게 하라고 한다. 아내는 개가하지 않겠다고 대성통곡하는데, 남편은 아내에게 자신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아내가 아들을 낳자, 부자는 남편의 병구완을 정성껏 하여 병이 낫는다. 부자는 부부에게 집을 지어주고 살림은 나눠주며 형제처럼 살았다고 한다.
  • 웹툰 서울 >마포구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상)
    강감찬이 어느 곳을 가다가 신행을 가는 일행을 만난다. 신행 떡에는 악귀가 앉아 있었다. 강감찬이 신부의 가슴 위에 앉아 있는 악귀를 물리치고, 누구 택일을 했느냐고 한다. 강감찬은 택일한 노인에게 악귀 살이 있는 날을 혼인날로 잡은 것은 잘못이라고 한다. 그러자 노인은 하늘의 천당성이 와서 악귀를 물리쳐 주기 때문에 이날을 길일이라고 한다. 노인의 말인즉슨 강감찬이 바로 천당성이라는 것이다.

웹툰

  • 웹툰 남이장군
    귀신을 볼 수 있는 탁월한 능력을 지닌 남이장군은 용문동 지역을 중심으로 신으로 모셔져 있다.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죽은 부분도 있지만 인간이 갖고 있지 않은 영험한 부분과 용맹하고 모든 사람들의 소원을 들어주는 것으로 인해 그를 마을신으로 모시게 된 것이다. 남이장군 사당이 약 300년 전 용문동에 세워진 것은 남이장군이 처음 출진(出陣)할 때 군졸을 뽑아 훈련시킨 곳이 용산 부근이었으며, 또 장군이 처형된 곳이 용산 부근인 새남터였기 때문이라 전해지고 있다.
  • 웹툰 한장군신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지역을 중심으로 모셔진 한장군신은 지역에 왜적의 침입을 막아주기 위해 노력하다 목숨을 잃은 연유로 지역의 신으로 모셔져 있다. 경상남도 경산시에 속한 자인 지역에 전해오는 이야기를 따르면 한장군은 왜적이 마을에 침범하여 백성들을 괴롭히자, 여자로 가장한 뒤에 누이와 화관을 만들어 쓰고 광대들의 풍악에 맞추어 춤을 추었다.넋을 잃고 공연을 보는 왜적들을 한장군과 광대들은 숨겨둔 칼을 들고 공격하였다. 갑작스러운 공격에 왜적들은 대응도 하지 못한 채 목숨을 잃었다.
  • 웹툰 개양할미
    부안군 죽막동 수성당에 모셔진 개양할미는 크기가 무척 큰 신으로 바다를 관여하는 신이다. 개양할미는 아주 오래전부터 칠산어장을 오가는 선박들의 항해를 책임져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개양할미는 바닷물이 발등 위에 조금 올라올 정도로 키가 크고 먼 바다를 다닐 때면 늘 걸어 다녔다. 자연스레 풍랑이 불거나 조업 과정에서 사고의 위험이 있을 때면 개양할미가 나타나 사고 위험에 놓인 선박들을 구조해준다고 주민들은 믿고 있다.
  • 웹툰 단군
    단군은 우리민족의 시조로 고조선의 첫 번째 임금이다. 단군에 관한 기록은 『위서(魏書)』, 『삼국유사』, 『제왕운기』 등에 전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모두 다르다. 하지만 단군이 우리 민족의 시조라는 데에서는 일치한다. 기원전 2333년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단군조선을 개국했다.
  • 웹툰 최영
    중부지방의 무속신앙에서 모시는 장군신 중의 하나로 ‘최일 장군’이라고도 부른다. 서울 굿에서는 ‘상산’이라고 하여 가장 중요한 신격으로 여긴다.
  • 웹툰 대리장가
    「대리 장가」는 부친의 빚을 탕감하기 위해 아들이 다른 사람 대신에 장가를 갔다가 진짜 혼인을 하게 되고, 부친의 빚도 갚게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신랑이 첫날밤부터 이틀 연속으로 신부와 동침을 거부한다. 신부는 첫날밤부터 소박을 맞는 것으로 생각하고, 부엌에서 칼을 가져와 자살하겠다고 한다. 이에 신랑을 할 수 없이 자신이 대신 장가를 오게 된 사정을 이야기하고, 그 사실을 알게 된 신부가 이것도 인연이라며 진짜 혼인을 하게 된다. 그리고 신붓집의 도움으로 부친의 빚을 갚았고 잘 살았다고 한다.
  • 웹툰 이부불열녀
    병든 남편과 정처 없이 떠돌던 여인에게 부자가 자식을 낳아주면 그녀와 남편을 돌봐주겠다고 한다. 남편은 고민 끝에 그렇게 하라고 한다. 아내는 개가하지 않겠다고 대성통곡하는데, 남편은 아내에게 자신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아내가 아들을 낳자, 부자는 남편의 병구완을 정성껏 하여 병이 낫는다. 부자는 부부에게 집을 지어주고 살림은 나눠주며 형제처럼 살았다고 한다.
  • 웹툰 다자구할미
    죽령 일대에서 산신으로 모셔지고 있는 여신을 말한다. 지혜와 용기로 도둑 떼를 물리쳐서 마을과 나라를 지켜준 공으로 인해 신격화된 신이다. 다자구라는 이름은 도둑을 물리칠 때 ‘다자구야(다 잔다)’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 웹툰 미륵신
    미륵신은 비교적 여러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데 주로 돌로 된 미륵이 많다. 미륵을 신으로 모셔지고 있는 지역은 많지 않지만, 대표적인 지역은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아차동 마을이다.미륵의 특징은  다른 마을신과 달리 특정 사람의 꿈에 나타나 앞날을 예언하는 경우가 많다. 불교에서 지닌 미륵불의 성격이 민간신앙에도 그래도 이러져 오고 있는 것이다.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에 전해오는 이야기는 정씨의 꿈에 미륵불이 나타나 내가 쓰러져 있을 때 일으켜주면 좋은 일이 생길 거라는 말을 남겼다.
  • 웹툰 못난 사위
    무남독녀를 둔 양반이 사윗감을 구하기 위해 사방을 돌아다니다가 서당에서 잘 생긴 아이를 발견한다. 양반은 훈장에게 자기 심정을 밝히는데, 훈장이 자기 아들이라고 한다. 그래서 혼인하기로 약속하고 집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막상 혼인날에 온 아이는 훈장 아들이 아닌 그 집에 일하는 아이였다. 어쩔 수 없이 그 아이와 딸을 결혼시켰는데 잘 살았다고 한다. 그런데 훈장 아들은 끝내 가난한 선비로 살았다고 한다.
  • 웹툰 도자기의 신, 이삼평
    이삼평은 일본에서 도자기의 신으로 추앙되고 있다. 대한민국 출신의 그가 일본의 도자기의 신으로 모셔지게 된 계기는 임진왜란과 관련 있다. 우리나라를 침입한 일본은 전쟁 과정에서 상당수의 조선시대의 도공을 일본으로 데려 갔는데 이삼평 역시 이 무렵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삼평을 비롯한 조선의 도공들이 일본으로 끌려가 조선의 도자기 기술에 비해 헌격하게 뒤떨어져 있었던 일본의 도자기 기술을 한 단계발전 시켰다. 특히 이삼평은 일본에서 도자기의 시조라는 의미에서 도조(陶祖)로 모셔지고 있다.
  • 웹툰 단종신
    조선시대의 왕인 단종은 강원도 영월 지역을 중심으로 마을신으로 모셔져 있다. 1452년 5월에 12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른 단종은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권을 뺏긴다. 이후 성상문·박팽년 등이 그의 복위와 권신(權臣)의 숙청을 기도하려다 실패한 사건을 계기로 단종은 영월로 유배된다. 유배 중에 숙부인 금성대군이 그의 복위운동을 꾀하다가 발각되었는데, 이 사건과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17세에 사상(賜死)을 당하였다. 그의 억울한 죽음을 곁에서 지켜본 마을주민들은 그가 죽은 이후에 마을신으로 모셔 그의 영혼을 달래주었다.

최근 본 웹툰

많이 본 웹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