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웹툰 콘텐츠 제공

이달의

  • 웹툰 경북 >영주시

    1부-부석사로 가는 비밀의 길
    영주 부석사의 창건설화인 선묘와 의상대사의 이야기를 그린 웹툰. 평범한 직장인 이대리가 재미삼아 삿갓을 쓰는 순간 의상대사를 만나 당나라 유학부터 부석사 창건까지의 길을 동행하는 이야기를 통해 부석사 창건기는 물론 무량수전, 탑, 불상, 석축 등 자연·문화유산 이야기를 조명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천년 사찰 부석사의 숨겨진 이야기와 감동을 담은 콘텐츠.
  • 웹툰 광주 >서구

    광주근현대 여성운동가(1) 김귀선
    꼬두메 야학과 들불야학을 조직해 헌신한 ‘님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 박기순 여성운동가의 삶을 만화로 구성한 콘텐츠
  • 웹툰

    이부불열녀(상)
    병든 남편과 정처 없이 떠돌던 여인에게 부자가 자식을 낳아주면 그녀와 남편을 돌봐주겠다고 한다. 남편은 고민 끝에 그렇게 하라고 한다. 아내는 개가하지 않겠다고 대성통곡하는데, 남편은 아내에게 자신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아내가 아들을 낳자, 부자는 남편의 병구완을 정성껏 하여 병이 낫는다. 부자는 부부에게 집을 지어주고 살림은 나눠주며 형제처럼 살았다고 한다.
  • 웹툰 서울 >마포구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상)
    강감찬이 어느 곳을 가다가 신행을 가는 일행을 만난다. 신행 떡에는 악귀가 앉아 있었다. 강감찬이 신부의 가슴 위에 앉아 있는 악귀를 물리치고, 누구 택일을 했느냐고 한다. 강감찬은 택일한 노인에게 악귀 살이 있는 날을 혼인날로 잡은 것은 잘못이라고 한다. 그러자 노인은 하늘의 천당성이 와서 악귀를 물리쳐 주기 때문에 이날을 길일이라고 한다. 노인의 말인즉슨 강감찬이 바로 천당성이라는 것이다.

웹툰

  • 웹툰 효자마을이라는 별칭을 가진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오류동
    인천광역시 계양구 오류은 마을에 오동나무와 버드나무가 많아 ‘오리울’, ‘오릿골’, ‘오류울’, ‘오류동’이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조선시대 오류동은 ‘효자마을’, ‘효자동’이라는 별칭이 생길 정도로 효행심 깊은 마을로 유명했다. 오류동은 파평 윤씨의 집성촌이었다. 파평 윤씨 문중 가운데 정직한 윤선비가 살고 있었는데, 가난하기는 하였지만 홀어머니를 모시며 사는 효성 깊은 선비였다. 그는 엄동설한에 어머니가 먹고 싶다는 잉어를 구해 봉양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윤선비의 효행이 감화가 되어 오류동은 부모 섬기기에 정성을 다하는 마을이 되었고, 조정에서는 이를 칭송하기 위해 효자문을 내렸다고 한다.
  • 웹툰 암자 바위에서 쌀이 나온 경상남도 거창군의 쌀골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수월리에는 ‘쌀골’, ‘쌀굴’, ‘쌀바위’ 등으로 부르는 골짜기와 동굴, 바위 등이 있다.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고견사(古見寺)에서 가북면 방향으로 가는 길에 위치한다. 옛날 쌀바위 근처 암자에 한 스님과 스님을 보좌하는 상좌가 살고 있었다. 쌀바위에는 사람 주먹 한 개정도 들어갈 만한 구멍이 있었고, 그 구멍에서는 매일 아침, 점심, 저녁이면 쌀이 나왔다. 하루는 스님이 출타한 사이에 상좌가 싸리 꼬챙이로 쌀 나오는 바위의 구멍을 팠다. 그 이후부터는 쌀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 웹툰 의좋은 체제공 형제가 살던 서울 종로 돈의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敦義洞)은 서울 도심지에 있는 주택가다. 1914년 돈령동의 ‘돈(敦)’자와 어의동의 ‘의(義)’자를 따서 이름 지어진 이 곳에는 다음과 같은 유래가 전한다. 평양을 오가며 장사를 하는 "채제민"은 장사 경험이 없어 한양으로 돌아올 차비도 없이 모든 재산을 탕진하였다. 그리고는 평양에 머물던 하숙집 주인 딸과 혼인을 하였는데 어느날, 채제공이 평양감사로 부임해 오자 그가 자신의 사촌형이라고 거짓말을 한다. 나중에 채제민의 처지를 모두 알게 된 채제공은 그의 사촌 형이 되어주었고, 그가 한양으로 돌아오자 채제민도 함께 따라와 돈의동에서 살았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 웹툰 오색구름이 그늘을 만들어 준 경북 상주 구름지마을
    경상북도 상주시 북동부에 ‘사벌국면(沙伐國面)’이라는 곳이 있다. ‘사벌국면’은 상주의 옛 이름인 ‘사벌국’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사벌국면 덕가리에는 ‘구름지’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구름지에 살고 있던 부부가 옥황상제에게 치성을 드려 용란이라는 딸을 낳았다. 부부는 어디를 가든 용난을 데리고 갔다. 하루는 밭일하던 중에 용란 위에서 오색구름이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었다. 이를 지나가던 고려시대 예종이 보고, 용란을 궁중으로 데리고 가 며느리로 삼았다고 한다. 그 후 오색구름이 그늘을 만들어 준 마을이라고 해서 ‘구름지’라 부르게 되었다.
  • 웹툰 사슴뿔처럼 생긴 강이 있는 서울 월계동의 녹천마을
    서울특별시 노원구 법정동 가운데 가장 오래된 지명을 가진 곳이 월계동(月溪洞)이다. 월계동이라는 지명은 중랑천과 우이천에 둘러싸여 있는 마을의 모습이 마치 ‘반달과 같은 형상’이라고 해서 형성되었다. 월계동의 자연마을 가운데는 ‘녹천(鹿川)마을’의 지명이 오래되었다. 녹천마을은 초안산 계곡물이 서쪽으로 흘러 우이천으로 유입되거나 동쪽으로 흘러 중랑천으로 유입되는데, 우이천과 중랑천이 합쳐지는 모양이 사슴 머리에 난 뿔과 같다고 해서 불리기 시작했다. 또한, 사슴에게 시집을 간 염씨 처녀, 조선시대 세종의 6대손 이유(李濡)와 연계해서 전해지는 지명유래도 있다.
  • 웹툰 희방사 도사와 풍기부자가 남긴 석탑이 있는 안동 석탑리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에 ‘석탑리’라는 곳이 있는데, ‘석탑리방단형적석탑’이 있어 생긴 지명이다. 전해지는 설화에 따르면, 옛날 안동시 북후면에 있는 학가산(鶴駕山)에 명인도사(明認道士)라 불리는 도사가 살고 있었다. 그는 도술로 풍기부자가 차린 밥상을 가져다 먹었다. 그 무렵 소백산 희방사에도 도사가 살고 있었는데, 풍기부자가 그를 찾아가 매일같이 사라지는 자신의 밥상 도둑인 명인도사와 담판을 짓자고 하였다. 희방사 도사와 풍기부자가 명인도사 집으로 향했고 명인도사는 변신술로 그들을 막았다. 결국, 희방사 도사와 풍기부자는 탑을 쌓아서 자신들이 왔다 간 흔적을 남겼다.
  • 웹툰 호랑이 형상의 바위 때문에 생긴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호구포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호구포(虎口浦)’라 불리는 포구가 있었다. 호구포는 포구의 형상이 호랑이 입처럼 생겼기에 불리는 지명이기도 하지만, 호구포 뒷산인 오봉산 기슭에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있는 것과 같은 형상의 바위가 있어서 호구포라 불렀다고도 한다. 호랑이 형상의 바위인 호구암 맞은편 산기슭에 묘를 쓴 세도가에서 대가 점차 끊기자 호구암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호구암이 향하는 대부도에서는 마을에서 키우는 개들이 번식되지 않는 것도 호구암 때문이라고 하였다.
  • 웹툰 소를 끌고 간 이무기가 살았던 경기도 동두천의 쇠목마을
    경기도 동두천시 광암동(廣岩洞)에서 동북쪽으로 4㎞ 정도 떨어진 곳에 ‘쇠목계곡’과 ‘쇠목마을’이 있다. 마을 입구에는 높이가 높지 않은 폭포가 한 곳 있는데, 그곳에는 이무기가 살고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논의를 통해 이무기를 이용해서 농자를 짓자고 하였다. 가뭄이 들 때마다, 폭포 아래 물웅덩이에서 물을 퍼내고 징을 쳐 시끄럽게 하였다. 이무기가 화가 나서 그럴 때마다 비를 내려 주었다. 이무기 덕분에 가뭄에 내린 비로 마을 주민들은 가뭄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었다.
  • 웹툰 장 냄새가 나는 충청북도 옥천의 장내마을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에는 ‘장야리(長夜里)’라는 마을이 있다. 장천마을의 장(長)과 배미의 야(夜)를 따서 ‘장야리’라고 하였다. 장천은 ‘장내’라고도 부르는데, 지명에 관련된 자린고비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유명한 구두쇠로 소문난 사람이 어느 날 장을 담그는데, 어디에서 날아왔는지 모르는 파리 세 마리가 장에 앉았다가 날아가버렸다. 구두쇠는 파리를 쫓아가 파리 다리에 묻은 장을 되찾아 오기로 마음먹었다. 파리를 쫓던 구두쇠가 장내[長川]마을에 이르러서 그만 파리를 놓쳐버렸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 웹툰 아리랑고개 너머 정선 삼베 길쌈
    삼의 고장인 정선, 봄에 씨를 파종하고 삼을 재배해 온 마을 주민이 참여하는 축제인 삼베길쌈 전 과정을 담은 웹툰. 정선에 시집와 고초를 겪으면서 삼베를 베워 삼베 명인 정선댁과 아들 귀남이, 그리고 손녀 아리 삼대가 삼굿 축제와 삼베를 통해 화합하는 스토리텔링으로 삼굿 축제를 쉽고 재밌게 표현한 콘텐츠
  • 웹툰 만화로 보는 남해 구전설화 남해섬 마실이바구
    『남해 구전설화집』의 전설이야기 중 의미있는 에피소드를 선정해 제작한 만화. 남해 고유 사투리와 그림으로 생생하게 담아 남해 마실 사람들의 삶의 경험과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콘텐츠
  • 웹툰 숯가마에 물을 뿌려 망한 부자가 살았던 강원도 영월의 숯가마
    강원도 영월군 연하리에는 ‘숯가마’라 부르는 마을이 있다. 마을에 숯을 굽는 ‘숯가마’가 있었기에 지명이 유래하였다. 숯가마에 한 부자가 살고 있었는데, 영월군에서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 등으로 통하는 길목이기에 손님들이 빈번하게 찾았다. 손님 접대가 힘들었기에 부잣집 아녀자가 스님의 말을 듣고, 밭을 논으로 바꾸었다. 그 이후 손님은 찾아오지 않았지만, 가세가 기울어 집안이 망하고 말았다고 한다. 밭을 논으로 바꾼 것은 숯가마에 물을 뿌려 불을 끈 것과 같기 때문이다.

최근 본 웹툰

많이 본 웹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