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웹툰 콘텐츠 제공

이달의

  • 웹툰 강원 >화천군

    일편단심 여인의 슬픈 사랑 이야기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에는 처녀고개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사랑하는 두 남녀가 있었다. 도령은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가고 처녀는 도령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렸다. 처녀는 도령을 기다리며 도령의 꽃버선을 곱게 만들어 소나무에 매달았다. 이후 10년이 지나 처녀는 새로 만든 꽃버선을 나무에 매달다 발이 미끄러져 죽고 말았다. 처녀가 죽은 날, 장원급제 후 마을에 돌아온 도령은 이를 알고 벼슬을 포기한 뒤 처녀의 혼을 달래주었다. 이후 마을에 풍년이 들어 '풍산리'라고 불렀고, 처녀가 죽은 고개는 '처녀고개'라 불렀다.
  • 웹툰 제주 >제주시

    두 형제가 해와 달을 활로 쏜 이유
    제주특별자치도에는 '대별왕'과 '소별왕'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태초의 세상은 하늘과 땅의 구분이 없어 혼돈의 연속이었다. 거인신인 두수문장으로 인해 세상에는 해와 달이 두 개씩 있어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추웠다. 이에 천지왕은 총멩부인과 인연을 맺고, 총멩부인은 쌍둥이를 낮아 첫째를 대별왕, 둘째를 소별왕이라 이름 지었다. 천지왕은 아들들이 성장하자 지상에 내려보냈다. 둘은 내기를 통해 저승과 이승을 다스릴 사람을 정했다. 그리하여 대별왕은 저승을, 소별왕은 이승을 다스리게 되었다.
  • 웹툰 경기 >양평군

    방귀 뀌어서 유배된 왕비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신원리에 있는 부용산에는 방귀 뀌어 유배 온 왕비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고려시대에 한 왕비가 결혼 첫날밤에 방귀를 뀌었다. 그로 인해 부용산에 귀양을 오게 되었는데, 왕비의 뱃속에 이미 왕자를 잉태하고 있었다. 왕자는 아버지가 없어 주변 아이들에게 놀림받게 되고, 왕비는 이에 진실을 알려준다. 왕자는 도성에 들어가 기지를 발휘하여 왕을 만나게 된다. 왕은 왕자라는 사실을 알고 왕비와 함께 도성으로 불러들이지만, 왕비는 계속해서 부용산에서 살았다고 한다.
  • 웹툰 제주 >제주시

    부모 찾아 떠난 오날이, 신녀가 되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오날이'에 관한 설화가 전해진다. 먼 옛날 어느 들판에서 옥 같이 고운 여자아이가 태어났다. 아이는 부모가 없어 이름도 나이도 모른채 그렇게 들에서 자랐다. 이를 본 마을사람들이 아이에게 자신들을 '오늘'만났기 때문에 '오날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오날이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고민하며 부모를 찾기 위한 여행을 떠난다. 그 여행을 통해 타인의 말을 들어주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멋진 어른으로 성장한다.

웹툰

  • 웹툰 전라북도 군산시 미성동 지명유래
    전라북도 군산시 미성동은 이 지역의 유명한 저수지인 '미제지'에서 유래되었다. '미제'라는 지명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으로 처음 등장한다.
  • 웹툰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지명유래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의 지명은 이 지역일대에 분포하는 대규모 평야에서 유래했다.
  • 웹툰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동 지명유래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동에 '개정'이란 지명은 마을에 뚜껑이 있는 우물이 있어서 그것을 한자명으로 '개정'이라고 하면서 개정동이 되었다. 
  • 웹툰 인천시 부평구 갈산동 지명유래
    인천시 부평구 갈산동은 구한말때 '갈월리'라고 불렸는데, 갈월이라는 지명은 '갈산명월' 즉, "칡넝쿨이 우거진 갈산에 비추는 밝은 달"이란 뜻에서 유래 되었다.
  • 웹툰 대구시 북구 칠성동 지명유래
    정조때 경상감사 이태영의 꿈에 대구읍성 북문 밖에 북두칠성이 내려온 것을 보았다. 그 다음날 이태영은 북문에서 7개의 바위를 발견하였다. 이 후로 그 7개의 바위는 칠성바위로 불리게 되었고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의 유래가 되었다.
  • 웹툰 대구시 동구 불로.봉무동 지명유래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봉무동의 '불로'는 공산전투에서 대패한 왕건이 도주하다가 한 마을이 지나게 된다. 그 마을에는 노인과 부녀자는 없고 어린아이들만 보여서 노인이 없는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봉무'는 뒷산모양이 마치 봉이 춤추는 모양새를 보인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 웹툰 대구시 북구 구암동 지명유래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의 이름은 비둘기로부터 유래되었다. 이 지역의 숲속에는 풍부한 열매를 먹기위해 많은 비둘기떼가 모여들어 바위를 하얗게 만들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또한, 구암동 뒷산에 비둘기가 많이 울어서 구명(鳩鳴)이라 했는데 비둘기 구(鳩)와 운암동에 암(岩)을 따서 구암동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웹툰 광주시 서구 상무동 지명유래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동의 '상무'라는 지명은 1952년~1995년까지 그 지역에 있었던 '상무대'에서 유래되었다. 지금은 상무대에서 육군종합학교로 바뀌었다.
  • 웹툰 광주시 북구 삼각동 지명유래
    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의 지명유래는 삼각산에서 유래되었다.
  • 웹툰 광주시 북구 매곡동 지명유래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는 어매마을과 봉곡마을이 있었다. 그 두마을이 합쳐지면서 어매마을의 '매' 봉곡마을의 '곡' 한글자씩 사용하면서 매곡동이 되었다.
  • 웹툰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지명유래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은 '수주' 즉, 이름 그대로 마을이 온통 강으로 둘러 싸여있다는 뜻이다. 
  • 웹툰 유네스코 세계유산 부석사 가는 길
    영주 부석사의 창건설화인 선묘와 의상대사의 이야기를 그린 웹툰. 평범한 직장인 이대리가 재미삼아 삿갓을 쓰는 순간 의상대사를 만나 당나라 유학부터 부석사 창건까지의 길을 동행하는 이야기를 통해 부석사 창건기는 물론 무량수전, 탑, 불상, 석축 등 자연·문화유산 이야기를 조명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천년 사찰 부석사의 숨겨진 이야기와 감동을 담은 콘텐츠.

최근 본 웹툰

많이 본 웹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