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웹툰 콘텐츠 제공

이달의

  • 웹툰 강원 >화천군

    일편단심 여인의 슬픈 사랑 이야기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에는 처녀고개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사랑하는 두 남녀가 있었다. 도령은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가고 처녀는 도령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렸다. 처녀는 도령을 기다리며 도령의 꽃버선을 곱게 만들어 소나무에 매달았다. 이후 10년이 지나 처녀는 새로 만든 꽃버선을 나무에 매달다 발이 미끄러져 죽고 말았다. 처녀가 죽은 날, 장원급제 후 마을에 돌아온 도령은 이를 알고 벼슬을 포기한 뒤 처녀의 혼을 달래주었다. 이후 마을에 풍년이 들어 '풍산리'라고 불렀고, 처녀가 죽은 고개는 '처녀고개'라 불렀다.
  • 웹툰 제주 >제주시

    두 형제가 해와 달을 활로 쏜 이유
    제주특별자치도에는 '대별왕'과 '소별왕'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태초의 세상은 하늘과 땅의 구분이 없어 혼돈의 연속이었다. 거인신인 두수문장으로 인해 세상에는 해와 달이 두 개씩 있어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추웠다. 이에 천지왕은 총멩부인과 인연을 맺고, 총멩부인은 쌍둥이를 낮아 첫째를 대별왕, 둘째를 소별왕이라 이름 지었다. 천지왕은 아들들이 성장하자 지상에 내려보냈다. 둘은 내기를 통해 저승과 이승을 다스릴 사람을 정했다. 그리하여 대별왕은 저승을, 소별왕은 이승을 다스리게 되었다.
  • 웹툰 경기 >양평군

    방귀 뀌어서 유배된 왕비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신원리에 있는 부용산에는 방귀 뀌어 유배 온 왕비에 대한 설화가 전해진다. 고려시대에 한 왕비가 결혼 첫날밤에 방귀를 뀌었다. 그로 인해 부용산에 귀양을 오게 되었는데, 왕비의 뱃속에 이미 왕자를 잉태하고 있었다. 왕자는 아버지가 없어 주변 아이들에게 놀림받게 되고, 왕비는 이에 진실을 알려준다. 왕자는 도성에 들어가 기지를 발휘하여 왕을 만나게 된다. 왕은 왕자라는 사실을 알고 왕비와 함께 도성으로 불러들이지만, 왕비는 계속해서 부용산에서 살았다고 한다.
  • 웹툰 제주 >제주시

    부모 찾아 떠난 오날이, 신녀가 되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오날이'에 관한 설화가 전해진다. 먼 옛날 어느 들판에서 옥 같이 고운 여자아이가 태어났다. 아이는 부모가 없어 이름도 나이도 모른채 그렇게 들에서 자랐다. 이를 본 마을사람들이 아이에게 자신들을 '오늘'만났기 때문에 '오날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오날이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고민하며 부모를 찾기 위한 여행을 떠난다. 그 여행을 통해 타인의 말을 들어주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멋진 어른으로 성장한다.

웹툰

  • 웹툰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지명유래
    조선시대때부터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일대에 큰 창고가 있었다. 큰 창고가 있으니 크게 번창하라는 뜻에서 '대창'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 웹툰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 지명유래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은 과거 마을 앞에 펼쳐진 넓은 들에서 유래되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다송동과 화신동을 병합하여 광평동이라고 해서 구미면에 편입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 웹툰 광주시 남구 방림동 지명유래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의 지명은 광주천변의 제방을 따라 있는 아름답고 울창한 숲에서 기원했다.
  • 웹툰 광주시 서구 유덕동 지명유래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동은 유촌과 덕흥의 첫 자를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유촌은 버드나무를 비롯한 천변 숲을 뜻하고 덕흥은 인근읜 덕사(뚝뫼)에서 기원했다.
  • 웹툰 대전시 중구 부사동 지명유래
    옛날 사득이란 총각과 부용이라는 처녀가 서로 사랑했는데 사득이 징병을 당해 떠나게 되었다. 사득이 영영 돌아오지 못하게 되자 부용은 선바위 위에서 그를 애타게 기다리다 지쳐 죽고 말았다. 이후 부용과 사득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부사동'이라 불렀다고 한다. 
  • 웹툰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지명유래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뒤에 매봉산이 있었다. 매봉산 아래 산부리에 돌이 많아 박혀 있어 독부리라고 하던것이 독구리, 득골이로 바뀌다가 지금의 도곡이 되었다.
  • 웹툰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동 지명유래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동은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에 따라 동정리, 신동리, 삼리일부와 기봉리, 오계리, 육계리를 병합하여 노송리가 되었다. 노송리의 지명은 이 지역의 늙은 소나무가 많은것에서 유래되었다. 
  • 웹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지명유래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은 덕진공원에 있는 덕진연못에서 지명의 유래가 연유하였다.
  • 웹툰 제주도 서귀포시 천지동 지명유래
    제주도 서귀포시 천지동은 한라산에서 발원한 천지연폭포가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 웹툰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지명유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은 가경골의 경치가 아름답다하여 유래되었다. 또한, 과경(과거에 합격하여 경사가 난 고을)에서 가경으로 변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웹툰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 지명유래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의 지명은 흰돌이 많아 '백석'이라 유래되었다. 
  • 웹툰 전라북도 진주시 덕진구 팔복동 지명유래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은 조선시대에 8명의 선비가 공부하여 과거에 급제한 터인 팔과정의 '팔'과 가장 큰 마을인 신복리의 '복'을 따서 이름지었다.

최근 본 웹툰

많이 본 웹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