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감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자연물장난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꽈리안에 공기를 가득 넣어 불어보는 꽈리불기
    꽈리불기는 초가을에 꽈리가 빨갛게 익으면, 꽈리 안의 씨를 빼내서 텅 비게 한 후 입 안에 넣어 소리가 나게 만드는 놀이다. 꽈리 안에 공기를 가득 넣고 천천히 눌러야 소리가 잘 난다. 봄에 즐기는 호드기 불기와 함께 자연물을 놀잇감으로 이용한 대표적인 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미루나무 가지로 만든 '호득호득', 호드기불기
    봄철 나무에 물이 오를 무렵, 버드나무나 미루나무 가지를 잘라 속을 비워낸 후 적당한 길이로 잘라 만든 피리를 호드기라고 한다. 호드기는 길이와 두께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데, 짧고 좁을수록 맑은 고음이, 길고 두꺼울수록 탁한 저음이 난다. 숙련된 사람은 호드기에 구멍을 내어 단소처럼 불기도 한다. 누가 더 소리를 오래 내느냐, 멋지게 연주하느냐를 겨루기도 하지만 소리 내는 것 자체를 즐기는 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비를 내리게 하는 신기한 제사 기우제
    기우제는 비를 내리게 하는 제의로서 논농사에 치중한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의례 중 하나이다. 논농사는 물의 수급이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우제는 관에서 주도하는 것과 민간에서 주도하는 것으로 나뉘며 민간 주도는 동제와 비슷하나 다양한 방식을 함께 시도하여 가뭄 해결을 도모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주술적인 힘으로 아들을 바라는 주술기자(呪術祈子)
    주술기자(呪術祈子)는 주술적인 힘을 이용하여 아이가 생기길 소망하는 기자의례(祈子儀禮)이다. 처음에는 아이를 갖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었으나 점차 아들이 중요해지면서 아들을 낳기를 바라는 의례로 변화하게 되었다. 따라서 남성을 상징하는 물건을 지니고 다니거나 아들을 낳은 사람의 옷을 얻어 입는 등의 의례가 이루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서구

    원님이 감을 먹고 마을 이름을 지어준 대구 감삼동
    감삼동(甘三洞)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24개 행정동의 하나이다. 감삼동에는 여러 개의 지명유래가 전한다. 먼저 감삼못이 오래 전부터 있었으므로 감삼동의 지명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생각, 마을 세 곳의 샘이 마르지 않고 단맛이 난다고 ‘감삼’, ‘감샘’, ‘감새미’로도 불렀다는 설명, 그리고 마을을 지나던 원님이 감을 세 개 먹고 마을 이름을 ‘감삼’이라 지어줬다는 이야기 등이다. 문헌으로는 ‘감삼지’가 가장 오래되었으니 ‘감삼동’은 감삼지에서 비롯되었다는 생각은 설득력이 있지만, 구전으로 내려오는 ‘세 곳의 샘물’은 시대를 따질 수 없으니 감삼지보다 후대의 이야기라고 단정하기도 어렵다. 지명유래는 하나보다 여럿인 것이 마을이야기가 풍성해지니 이러한 측면에서 감삼동은 이야깃거리가 많은 마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강화군

    강화도의 씨 없는 토종감, 장준감 먹어 보셨나요!
    인천광역시 강화군 송해면과 불은면 등지는 장준감의 생산지이다. 장준감은 강화군의 군목(郡木)으로, 강도육미(江都六味)라 하여 강화도의 대표 음식 중 하나이다. 조선 초기 강화도의 특산물 중 감이 소개되어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씨가 없어 다른 감과 차별화 된다. 강화도 토종감은 ‘장준감’과 ‘박렬’이다. 이 중 장준감은 씨가 없고 꼭지부분에 올록볼록한 무늬가 있으며, 수분이 많고 부드럽고 달며, 뾰족하다. 뾰족한 장준감은 홍시로, 납작한 박렬은 곶감이나 소금물에 담가 울궈 먹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청도군

    씨 없고 납작한 감으로 유명한 ‘청도 반시’
    경상북도 청도군에서는 ‘청도 반시’를 생산한다. 청도 반시는 지리적 조건과 작물재배 환경에 인해 씨가 없는 감으로 유명하다. 우선 청도 반시는 조선시대에 평해감사를 지닌 지역민이 평해 지역 감나무를 가져다가 청도군의 토종 감나무에 접목해 만든 신품종이다. 감나무는 암컷과 수컷이 있어야 하나, 청도지역에는 수컷에 해당하는 수분수가 드물어 씨가 생기지 않는다고도 하고, 수분이 이루어지는 5월에 안개가 짙어 수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씨가 없기에 홍시로 먹으면 씨를 골라내야 하는 불편함 없이 단맛의 감을 즐길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강감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4건)
  • 지역문화 Pick (1건)
  • 지방문화툰 (2건)
자세히보기
  •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하)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서울 >마포구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하)
    강감찬이 어느 곳을 가다가 신행을 가는 일행을 만난다. 신행 떡에는 악귀가 앉아 있었다. 강감찬이 신부의 가슴 위에 앉아 있는 악귀를 물리치고, 누구 택일을 했느냐고 한다. 강감찬은 택일한 노인에게 악귀 살이 있는 날을 혼인날로 잡은 것은 잘못이라고 한다. 그러자 노인은 하늘의 천당성이 와서 악귀를 물리쳐 주기 때문에 이날을 길일이라고 한다. 노인의 말인즉슨 강감찬이 바로 천당성이라는 것이다.
  •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상)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서울 >마포구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상)
    강감찬이 어느 곳을 가다가 신행을 가는 일행을 만난다. 신행 떡에는 악귀가 앉아 있었다. 강감찬이 신부의 가슴 위에 앉아 있는 악귀를 물리치고, 누구 택일을 했느냐고 한다. 강감찬은 택일한 노인에게 악귀 살이 있는 날을 혼인날로 잡은 것은 잘못이라고 한다. 그러자 노인은 하늘의 천당성이 와서 악귀를 물리쳐 주기 때문에 이날을 길일이라고 한다. 노인의 말인즉슨 강감찬이 바로 천당성이라는 것이다.
  • 콩닥콩닥, 신나는 관악산 대모험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서울 >관악구

    콩닥콩닥, 신나는 관악산 대모험
    어린이들이 관악구의 문화유산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과 그림으로 엮은 동화책. 관악구의 자랑인 강감찬 장군과 자하 신위 선생, 뜨거운 관악산과 경복궁 해태가 벌이는 모험 등 다양한 이야기가 상상력의 날개를 달고 펼쳐진다. 관악산의 매력포인트인 신기한 바위가 그림과 이야기로 생생하게 재탄생한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대감굿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동국통감제강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역주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군위군

    역주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은 조선 시대 1786년 정조 10년에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가 간행한 역사교재이다. 동국통감은 단군 말부터 고려말까지 역사를 연대별로 다룬 책으로, 동국통감제강은 이를 바탕으로 교재용으로 지은 책이다. 경북 군위문화원은 국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동국통감제강을 번역해 책을 발간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북 >청송군

    진보의병이 결성된 진보향교
    진보향교는 한말 진보의병의 창의가 논의된 곳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1호이다. 한말 진보지역에서는 을미의병기에 허훈 의병장이 진보지역의 의병을 모집하여 1896년 4월 진보향교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고 을사의병기에는 이현규 의병장이 1905년 11월 진보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청송 주왕산 대전사, 울진 불영사 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의성군

    의성의병창의지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1896년 을미의병기에 의성의병이 의병을 일으키기로 결정하고 향회를 열기위한 통문을 작성한 곳이다. 의성지역 유림들은 1896년 3월 14일 향회를 열어 김상종을 의병장으로 뽑았다. 김상종은 의병을 모으고, 의병부대를 조직하여 3월 25일 의병대장에 취임하였다. 의성의병은 4월 2일 구봉산에서의 첫 전투 이래 황산전투·감은리전투·비봉산전투를 치르며, 5월 26일까지 항전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의성군

    의성의병의 충의정신을 기리는 의병기념관
    의성의병기념관은 창의부터 해산까지 62일동안 결사적으로 항전한 의성의병부대의 의병투쟁을 널리 알리고 의롭게 싸우다 순국한 의병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2016년 11월 사초마을에 의성군에서 건립하였다. 의성의병은 김상종의병장을 중심으로 의병을 일으킨 지 8일 만인 4월 2일 의성읍 구봉산전투부터 5월 25~26일 치러진 비봉산전투에 이르기까지 치열하게 싸운 전투의병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경상감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남원시

    경상감영에서 전라감영으로 이동할 때 넘었던 팔량재길
    팔랑치로 더 잘 알려진 팔량재는 경상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에 자리한 고개이다. 이 고개를 넘는 길은 조선시대에 공공업무를 수행하던 역로인 오수도와 사근도의 경계이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사람과 물자를 통제하는 팔량관이 설치되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왜군이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진출하기 위해 통과하고자 했던 길이다. 이 고개를 넘는 길은 경상감영이 있던 대구에서 지금의 전라남도로 이동할 때에 이용하던 구간이다. 지금은 국도 제24호선이 남원에서 여원재를 지나 운봉을 통과하여 팔량재를 넘어 함양으로 연결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의보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하늘의 뜻을 거부하는 유산법(流産法)
    원치 않는 임신을 했을 때 아이를 떼는 방법을 유산법(流産法)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는 낙산(落産), 소산(小産)이라고도 한다. 유산은 하늘에서 점지해준 아이를 의도적으로 없애는 것으로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였다. 따라서 잘 언급되지 않은 소극적 민속이었다. 그래서 유산법에는 아이를 떼는 법과 함께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하는 예방법도 함께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