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감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감자투생이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평창군

    감자투생이
    평창군 도사리에 사는 김봉자 요리 도사님의 밥상, 감자투생이 레시피를 촬영한 영상. 평창 자연밥상을 차린 요리명인 5인의 삶과 요리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밀가루가 없으면 감자로 만들면 되지, 감자 옹심이!
    감자가 유명한 강원도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감자를 활용한 요리가 발달되어 있다. 그중 감자옹심이는 다른 지역의 수제비와 같은데, 밀가루 반죽 대신 감자전분 반죽으로 만든 음식이다. 옹심이는 “새알심”의 강원도 방언이다. 과거에는 동그랗게 빚어서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수제비 모양으로 만들기도 한다. 정선과 영월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강릉의 전통음식으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밭의 사과로 만든 쫄깃한 감자녹말송편(감자송편)
    감자송편은 감자의 생산량이 많은 강원도의 향토음식이다.구수하고 쫄깃한 감자송편은 감자녹말을 사용하여 송편처럼 빚는 떡이다. 지역에 따라 송편의 크기도 다르게 나타나는데, 북부지방의 송편은 대체로 크고 서울, 경기지방은 작게 빚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자연물장난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꽈리안에 공기를 가득 넣어 불어보는 꽈리불기
    꽈리불기는 초가을에 꽈리가 빨갛게 익으면, 꽈리 안의 씨를 빼내서 텅 비게 한 후 입 안에 넣어 소리가 나게 만드는 놀이다. 꽈리 안에 공기를 가득 넣고 천천히 눌러야 소리가 잘 난다. 봄에 즐기는 호드기 불기와 함께 자연물을 놀잇감으로 이용한 대표적인 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미루나무 가지로 만든 '호득호득', 호드기불기
    봄철 나무에 물이 오를 무렵, 버드나무나 미루나무 가지를 잘라 속을 비워낸 후 적당한 길이로 잘라 만든 피리를 호드기라고 한다. 호드기는 길이와 두께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데, 짧고 좁을수록 맑은 고음이, 길고 두꺼울수록 탁한 저음이 난다. 숙련된 사람은 호드기에 구멍을 내어 단소처럼 불기도 한다. 누가 더 소리를 오래 내느냐, 멋지게 연주하느냐를 겨루기도 하지만 소리 내는 것 자체를 즐기는 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강감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4건)
  • 지역문화 Pick (1건)
  • 지방문화툰 (2건)
자세히보기
  •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하)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서울 >마포구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하)
    강감찬이 어느 곳을 가다가 신행을 가는 일행을 만난다. 신행 떡에는 악귀가 앉아 있었다. 강감찬이 신부의 가슴 위에 앉아 있는 악귀를 물리치고, 누구 택일을 했느냐고 한다. 강감찬은 택일한 노인에게 악귀 살이 있는 날을 혼인날로 잡은 것은 잘못이라고 한다. 그러자 노인은 하늘의 천당성이 와서 악귀를 물리쳐 주기 때문에 이날을 길일이라고 한다. 노인의 말인즉슨 강감찬이 바로 천당성이라는 것이다.
  •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상)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서울 >마포구

    신행길에 악귀를 물리친 강감찬(상)
    강감찬이 어느 곳을 가다가 신행을 가는 일행을 만난다. 신행 떡에는 악귀가 앉아 있었다. 강감찬이 신부의 가슴 위에 앉아 있는 악귀를 물리치고, 누구 택일을 했느냐고 한다. 강감찬은 택일한 노인에게 악귀 살이 있는 날을 혼인날로 잡은 것은 잘못이라고 한다. 그러자 노인은 하늘의 천당성이 와서 악귀를 물리쳐 주기 때문에 이날을 길일이라고 한다. 노인의 말인즉슨 강감찬이 바로 천당성이라는 것이다.
  • 콩닥콩닥, 신나는 관악산 대모험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서울 >관악구

    콩닥콩닥, 신나는 관악산 대모험
    어린이들이 관악구의 문화유산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과 그림으로 엮은 동화책. 관악구의 자랑인 강감찬 장군과 자하 신위 선생, 뜨거운 관악산과 경복궁 해태가 벌이는 모험 등 다양한 이야기가 상상력의 날개를 달고 펼쳐진다. 관악산의 매력포인트인 신기한 바위가 그림과 이야기로 생생하게 재탄생한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경상감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남원시

    경상감영에서 전라감영으로 이동할 때 넘었던 팔량재길
    팔랑치로 더 잘 알려진 팔량재는 경상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에 자리한 고개이다. 이 고개를 넘는 길은 조선시대에 공공업무를 수행하던 역로인 오수도와 사근도의 경계이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사람과 물자를 통제하는 팔량관이 설치되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왜군이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진출하기 위해 통과하고자 했던 길이다. 이 고개를 넘는 길은 경상감영이 있던 대구에서 지금의 전라남도로 이동할 때에 이용하던 구간이다. 지금은 국도 제24호선이 남원에서 여원재를 지나 운봉을 통과하여 팔량재를 넘어 함양으로 연결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베틀 노세 베틀 노세, 옷감을 짜는 길쌈
    길쌈은 부녀자들이 가정에서 삼 ·누에 ·모시 ·목화 등의 섬유 원료로 베 · 명주 · 모시 · 무명 등의 직물을 짜는 모든 과정을 일컫는 말이다. 만들어진 직물은 농가의 주요 소득원이 되었고 화폐의 대용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일의 고통을 덜고 자신들의 설움을 표현하며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래를 길쌈노래라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강원감영 관변문화 복원의 방향 학술세미나 2

    출처 :강원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원주시

    강원감영 관변문화 복원의 방향 학술세미나 2
    2017년 개최한 '강원감영 관변문화 복원의 방향' 학술 세미나의 기록영상이다. 감영(監營)은 조선왕조 때 각 도의 행정사무를 관장하였던 기관으로 오늘날의 도청(행정)에 해당한다. 이중 강원도 원주시의 '강원감영'은 보존이 잘된 곳으로 사적 제439호로 지정된 바 있다. 당시의 관변연회문화를 고증·연구하여 복원하고자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강원감영 관변문화 복원의 방향 학술세미나 1

    출처 :강원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원주시

    강원감영 관변문화 복원의 방향 학술세미나 1
    2017년 개최한 '강원감영 관변문화 복원의 방향' 학술 세미나의 기록영상이다. 감영(監營)은 조선왕조 때 각 도의 행정사무를 관장하였던 기관으로 오늘날의 도청(행정)에 해당한다. 이중 강원도 원주시의 '강원감영'은 보존이 잘된 곳으로 사적 제439호로 지정된 바 있다. 당시의 관변연회문화를 고증·연구하여 복원하고자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강원감영 관변연회문화 전통공연 2

    출처 :강원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원주시

    강원감영 관변연회문화 전통공연 2
    강원 감영 관변연회문화 전통공연 실황을 담은 영상이다. 감영(監營)은 조선왕조 때 각 도의 행정사무를 관장하였던 기관으로 오늘날의 도청(행정)에 해당한다. 당시의 관변연회문화를 재현한 '강원감영풍물공연'을 영상으로 기록했다. 진굿사물, 관동별곡 시조, 관동무, 천년만세 합주, 편수대엽 여창 가곡, 장기타령 등을 공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비를 내리게 하는 신기한 제사 기우제
    기우제는 비를 내리게 하는 제의로서 논농사에 치중한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의례 중 하나이다. 논농사는 물의 수급이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우제는 관에서 주도하는 것과 민간에서 주도하는 것으로 나뉘며 민간 주도는 동제와 비슷하나 다양한 방식을 함께 시도하여 가뭄 해결을 도모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주술적인 힘으로 아들을 바라는 주술기자(呪術祈子)
    주술기자(呪術祈子)는 주술적인 힘을 이용하여 아이가 생기길 소망하는 기자의례(祈子儀禮)이다. 처음에는 아이를 갖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었으나 점차 아들이 중요해지면서 아들을 낳기를 바라는 의례로 변화하게 되었다. 따라서 남성을 상징하는 물건을 지니고 다니거나 아들을 낳은 사람의 옷을 얻어 입는 등의 의례가 이루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국통감제강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역주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군위군

    역주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은 조선 시대 1786년 정조 10년에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가 간행한 역사교재이다. 동국통감은 단군 말부터 고려말까지 역사를 연대별로 다룬 책으로, 동국통감제강은 이를 바탕으로 교재용으로 지은 책이다. 경북 군위문화원은 국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동국통감제강을 번역해 책을 발간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대감굿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