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감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강릉의 특산물을 넘어 명품으로, 강릉 곶감
    강릉지역의 대표적인 특산물 중의 하나인 강릉 곶감은 생감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감을 말하는데, 생감에 비해 오랜 기간 저장해서 먹을 수 있다. 곶감은 다른 말로 건시(乾柿)라고도 한다. 강릉지역의 특산물인 곶감은 강릉에서 100여 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강릉시에서는 지역의 특산물인 곶감을 명품화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지속적인 지원으로 하고 있다. 이후 2016년부터 2017년에도 곶감 건조장, 곶감 가공 및 저장 시설에 대한 지원과 함께 곶감 가공을 위한 매뉴얼을 표준화하여 개발한 후 보급하고 강릉 곶감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반 마케팅 지원 사업을 추진하기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곶감으로 아버지 병 고친 임효자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파수리에 은진 임씨 문중이 살았는데 문중의 어른이 병들어 앓게 되었다. 그 어른에게는 아들이 있었는데 효심이 매우 깊었다. 임효자는 매일 산에 올라 약초를 캤다. 어느 날 아무 약초도 캐지 못하고 낭떠러지에서 발을 헛디뎌 기절하고 말았다. 한참 후 한 노인이 어서 일어나라고 호통을 쳤다. 노인은 절벽의 열매를 아버지의 약으로 쓰라고 알려준 뒤 사라졌다. 임효자는 겨우 절벽에 올라 열매를 따와서 껍질을 벗긴 후 말려서 물에 녹여 아버지에게 드리니 씻은 듯이 낫게 되었다. 이 열매는 감이었고 이것이 곶감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였다고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상주시

    곶감 중에 으뜸 상주시의 곶감
    상주시는 예로부터 삼백(三白)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삼백이란 세 가지 흰 것을 말하는데, 상주 지역에서 산출되는 세 가지 흰 것, 다시 말하자면 곶감을 비롯해 쌀, 누에고치가 그것이다. 한 동안 이 세 가지 산물은 상주를 대표하는 것으로 각광을 받았으나 생업환경 등이 바뀌면서 오늘날에는 곶감만이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주시에서 생산되는 곶감은 일찍부터 왕에게 바치는 공물의 하나로 쓰일 정도로 맛과 품질이 뛰어났다. 그 이유는 토양과 기후 등이 감나무를 재배하는데 최상의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베틀 노세 베틀 노세, 옷감을 짜는 길쌈
    길쌈은 부녀자들이 가정에서 삼 ·누에 ·모시 ·목화 등의 섬유 원료로 베 · 명주 · 모시 · 무명 등의 직물을 짜는 모든 과정을 일컫는 말이다. 만들어진 직물은 농가의 주요 소득원이 되었고 화폐의 대용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일의 고통을 덜고 자신들의 설움을 표현하며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래를 길쌈노래라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자연물장난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꽈리안에 공기를 가득 넣어 불어보는 꽈리불기
    꽈리불기는 초가을에 꽈리가 빨갛게 익으면, 꽈리 안의 씨를 빼내서 텅 비게 한 후 입 안에 넣어 소리가 나게 만드는 놀이다. 꽈리 안에 공기를 가득 넣고 천천히 눌러야 소리가 잘 난다. 봄에 즐기는 호드기 불기와 함께 자연물을 놀잇감으로 이용한 대표적인 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미루나무 가지로 만든 '호득호득', 호드기불기
    봄철 나무에 물이 오를 무렵, 버드나무나 미루나무 가지를 잘라 속을 비워낸 후 적당한 길이로 잘라 만든 피리를 호드기라고 한다. 호드기는 길이와 두께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데, 짧고 좁을수록 맑은 고음이, 길고 두꺼울수록 탁한 저음이 난다. 숙련된 사람은 호드기에 구멍을 내어 단소처럼 불기도 한다. 누가 더 소리를 오래 내느냐, 멋지게 연주하느냐를 겨루기도 하지만 소리 내는 것 자체를 즐기는 놀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감자투생이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강원 >평창군

    감자투생이
    평창군 도사리에 사는 김봉자 요리 도사님의 밥상, 감자투생이 레시피를 촬영한 영상. 평창 자연밥상을 차린 요리명인 5인의 삶과 요리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밀가루가 없으면 감자로 만들면 되지, 감자 옹심이!
    감자가 유명한 강원도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감자를 활용한 요리가 발달되어 있다. 그중 감자옹심이는 다른 지역의 수제비와 같은데, 밀가루 반죽 대신 감자전분 반죽으로 만든 음식이다. 옹심이는 “새알심”의 강원도 방언이다. 과거에는 동그랗게 빚어서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수제비 모양으로 만들기도 한다. 정선과 영월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강릉의 전통음식으로 지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밭의 사과로 만든 쫄깃한 감자녹말송편(감자송편)
    감자송편은 감자의 생산량이 많은 강원도의 향토음식이다.구수하고 쫄깃한 감자송편은 감자녹말을 사용하여 송편처럼 빚는 떡이다. 지역에 따라 송편의 크기도 다르게 나타나는데, 북부지방의 송편은 대체로 크고 서울, 경기지방은 작게 빚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의보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하늘의 뜻을 거부하는 유산법(流産法)
    원치 않는 임신을 했을 때 아이를 떼는 방법을 유산법(流産法)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는 낙산(落産), 소산(小産)이라고도 한다. 유산은 하늘에서 점지해준 아이를 의도적으로 없애는 것으로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였다. 따라서 잘 언급되지 않은 소극적 민속이었다. 그래서 유산법에는 아이를 떼는 법과 함께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하는 예방법도 함께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비를 내리게 하는 신기한 제사 기우제
    기우제는 비를 내리게 하는 제의로서 논농사에 치중한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의례 중 하나이다. 논농사는 물의 수급이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우제는 관에서 주도하는 것과 민간에서 주도하는 것으로 나뉘며 민간 주도는 동제와 비슷하나 다양한 방식을 함께 시도하여 가뭄 해결을 도모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주술적인 힘으로 아들을 바라는 주술기자(呪術祈子)
    주술기자(呪術祈子)는 주술적인 힘을 이용하여 아이가 생기길 소망하는 기자의례(祈子儀禮)이다. 처음에는 아이를 갖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었으나 점차 아들이 중요해지면서 아들을 낳기를 바라는 의례로 변화하게 되었다. 따라서 남성을 상징하는 물건을 지니고 다니거나 아들을 낳은 사람의 옷을 얻어 입는 등의 의례가 이루어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김천시

    경상도를 남북으로 연결하던 우두령 옛길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 가운데 하나인 우두령은 조선시대부터 영남지방에서 한양으로 이동하는 지름길로 이용되었던 옛길이다. 우두령 옛길은 조선시대의 역로 가운데 김천도에 편성되었다. 고개 마루에는 우두령을 넘는 길손의 휴식처인 소지원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에는 경상도에서 전라도 무주로 진출하려던 왜군을 우두령에서 무찔렀다. 우두령은 경상북도 김천으로 흐르는 감천과 경상남도 거창으로 흐르는 계수천의 분수계이기도 하다. 백두대간에서 고도가 낮은 고갯길이었던 우두령 옛길은 일찍부터 교통 및 군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보령시

    옛 정취 그대로 간직한 간이역, 보령 청소역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진죽리에는 청소역이라는 역사(驛舍)가 있다. 청소역은 1929년 개통되어 현재에 이르는 장항선에서 가장 오래된 간이역이다. 청소역은 근대 간이역으로써의 건축사적 가치와 철도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6년 12월 4일 국가등록문화재 제305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하루에 열차가 여덟 번 정차한다. 스무 명 남짓의 승객이 이용하고 있는데 대부분 관광객이다. 영화 <택시운전사>의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청소역과 청소면 일대를 찾는 발길이 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영덕군

    아름다운 블루로드 B길에서도 절경인 영덕 석리마을길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석리는 경사지 마을로 영덕군에서 가장 작은 마을 가운데 하나이다. 이 마을이 탐방객에게 많은 관심을 받게 된 것은 영덕군에서 개발한 ‘블루로드’ 덕분이다. 석리마을길은 블루로드 B코스의 석리마을 입구에서 대게원조마을 앞까지 1.5㎞ 구간을 이른다. 이 구간은 원래 해안 철책선이 설치되고 군인들이 경계를 서던 곳이라 민간인이 다닐 수 없었으나 2000년대에 철책선을 정리하여 석리마을길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바다에서 바라보는 석리마을은 낭만적이지만, 실제 마을 길은 좁고 가팔라서 젊은 사람도 다니기가 힘들 정도이다. 이처럼 불편한 길임에도 멀리서 보면 아름다운 까닭은 마을 구성원들이 필요한 만큼만 경사지를 다듬어 집을 짓고 길을 내는 등 자연환경에 순응하고 살았기 때문일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남양주시

    둘레길과 함께하는 남양주시의 남양주팔경
    경기도 남양주시에 ‘남양주팔경’이 소재한다. 남양주팔경은 남양주시에서 2017년 새롭게 선정한 관광 명소이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공모를 통해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남양주시 관내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여덟 곳을 선정하였다. 남양주시는 개발 제한 구역이나, 상수도 보호구역 등으로 지정된 곳이 많기에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곳도 많다. 남양주시에서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이용해 시민들이 참여하는 걷기대회를 개최하고, 남양주시 관내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에 산책로 등을 만들어 놓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청송군

    진보의병이 결성된 진보향교
    진보향교는 한말 진보의병의 창의가 논의된 곳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1호이다. 한말 진보지역에서는 을미의병기에 허훈 의병장이 진보지역의 의병을 모집하여 1896년 4월 진보향교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고 을사의병기에는 이현규 의병장이 1905년 11월 진보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청송 주왕산 대전사, 울진 불영사 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의성군

    의성의병창의지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1896년 을미의병기에 의성의병이 의병을 일으키기로 결정하고 향회를 열기위한 통문을 작성한 곳이다. 의성지역 유림들은 1896년 3월 14일 향회를 열어 김상종을 의병장으로 뽑았다. 김상종은 의병을 모으고, 의병부대를 조직하여 3월 25일 의병대장에 취임하였다. 의성의병은 4월 2일 구봉산에서의 첫 전투 이래 황산전투·감은리전투·비봉산전투를 치르며, 5월 26일까지 항전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의성군

    의성의병의 충의정신을 기리는 의병기념관
    의성의병기념관은 창의부터 해산까지 62일동안 결사적으로 항전한 의성의병부대의 의병투쟁을 널리 알리고 의롭게 싸우다 순국한 의병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2016년 11월 사초마을에 의성군에서 건립하였다. 의성의병은 김상종의병장을 중심으로 의병을 일으킨 지 8일 만인 4월 2일 의성읍 구봉산전투부터 5월 25~26일 치러진 비봉산전투에 이르기까지 치열하게 싸운 전투의병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