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마을 입석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수동에 세워져 있다. 입석마을 입석이 있는 입석마을은 황룡강 가장자리에 있다. 입석마을 입석은 화강암 재질로 만들었으며, 자연석 그대로가 아닌 사람의 힘으로 가공한 형태이다. 한국전쟁 이전에는 매년 정월 대보름에 입석에서 풍요와 복을 비는 마을 공동제사를 지냈었다. 전남의 입석들이 대체로 자연석이고, 마을 입구나 가운데 세워져 있는 것에 비해 입석마을 입석은 민가 마당에 있고, 인공적으로 다듬어 놓았다는 특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포충사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이끈 제봉 고경명을 배향하는 사우이다. 고경명은 문과에 장원급제해 관료 생활을 하다가 파직되어 광주에 내려와 있다가 왜군이 쳐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 의병을 모아 진군하였다. 비록 승전한 전투는 없었지만, 고경명을 시작으로 여러 지역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대부분의 의병이 그렇듯 고경명도 병법을 알지 못하고 무예를 익히지 않은 선비에 불과했지만, 임금의 은혜에 보답해야 한다는 다짐 하나만으로 의병들을 모으고 그들을 이끌어 전장에 나갔다.
전남 광주 칠석마을에 전승되어온 '광주칠석고싸움놀이'를 소개하는 교육용 애니메이션이다. 광주칠석고싸움놀이(무형문화재 제33호)'는 장정 둘이 고를 타고 황소가 맞부닥치듯 힘을 겨루는 격동적인 모습으로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를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 고싸움놀이에 사용되는 탈것인 '고'를 제작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담았다.
전남 광주 칠석마을에 전승되어온 '광주칠석고싸움놀이'를 소개하는 영상이다. 광주칠석고싸움놀이(무형문화재 제33호)'는 장정 둘이 고를 타고 황소가 맞부닥치듯 힘을 겨루는 격동적인 모습으로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고싸움놀이의 유래와 고를 만드는 방법, 놀이방법과 재연을 영상에 담았다.
광주 근현대 여성운동의 배경과 여성 운동가들의 삶을 만화로 구성한 콘텐츠. 작은 예수 서서평선교사, 남도의 유관순 윤형숙, 치매상태에서도 독립만세를 부른 김귀선, 최연소 독립투사 최현숙, 전쟁고아들의 따뜻한 둥지가 된 박순이, 광주의 어머니 조아라, 오월의 꽃 박금희, 님을 위한 행진곡의 ‘님’ 박기순 등 여성의 10인의 삶을 그린 웹툰
장성향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1896년 을미의병기 기우만이 주도한 장성의병의 창의 장소이자 근거지였다. 기우만은 장성향교를 근거지 삼아 장성과 그 밖의 각 지역에 격문을 발송하여 의병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였다. 기우만의 격문이 나붙자 사방에서 의병들이 모여들어 기우만은 장성향교를 도회소, 양사재를 향회소로 삼아 의병을 일으켰다.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무등산 깃대봉 중턱의 조선대학교 본관 건물은 광주의 랜드 마크 가운데 하나다. 370m 길이에 19개 박공 건물이 늘어선 모습은 마치 한 마리 학이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려는 것처럼 보인다. 본관 19개 건물 가운데 초기에 세워진 5개 건물은 등록문화재 제 94호다. 5개 동은 1947년부터 1955년까지 8년에 걸쳐 건축되었다. 이어진 건물들은 후에 증축한 것이다. 조선대학은 광복 직후인 1946년부터 진행된 민간 차원의 대학설립 운동이 결실을 맺은 최초의 사례다. 당시 호남 각지에서 7만2,000명이 조선대학 설립동지회에 가입해 한국 최초의 민립대학이 설 수 있었다.
광주 서석초등학교는 광주광역시에 최초로 세워진 근대식 공립학교다. 1896년 소학 교령에 따라 공립소학교로 문을 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광주 공립보통학교가 되었다. 1930년 강당 겸 체육관[현재의 서석당]이 세워졌고, 1935년 본관, 1943년 별관이 건축되었다. 학교의 이름은 1938년 광주 서석 공립 심상소학교가 되어, 서석이라는 유서 깊은 이름을 붙였다. 서석은 무등산의 이칭이자, 광주의 옛 이름이 서석읍이다. 해방 후에도 서석이라는 교명은 계속 사용되었다.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과 강당, 별관은 정성 들여 지은 붉은 벽돌 건물이다.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은 식민지 근대가 도래하기 전 개신교 선교사들의 계몽적 근대가 먼저 당도한 지역이다. 미국 남 장로회 소속 선교사들은 광주 선교를 위해 양림동의 땅을 사들였다. 중심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데다, 땅값이 쌌기 때문이다. 선교사들은 교회와 사택을 짓고, 학교와 병원을 세우면서 양림동에 ‘서양촌’을 형성해 나갔다. 일제강점기 들어 광주 중심부는 조선총독부의 계획 아래 근대 도시가 되었으나, 양림동은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광주 제중원 등 종교와 교육과 의료를 통해 근대를 접하게 되었다. 양림동에는 기독교 근대의 자취 외에도 전통 한옥이나 문화예술인들의 역사적 자취가 남아 있고, 광주가 팽창하면서 양림동에 터 잡고 살아온 보통사람들의 삶 또한 곳곳에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양림동을 한 바퀴 돌면서 다양한 근대의 의미 지층을 탐색해 보는 일은 흥미로운 근현대사 산책일 것이다.
환벽당은 광주의 대표적인 누정이다. 환벽당은 나주목사를 지낸 김윤제가 낙향하여 후학을 양성하고 벗들과 친교를 나누던 곳이다. 대표적인 제자가 송강 정철과 서하당 김성원이다. 조선 중기의 학자 송순은 ‘식영정과 환벽당은 형제와 같은 정자’라고 했고, 또한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을 이 지역 대표적인 세 명승이라 했다. 실제로 세 곳 모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