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근대음식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근대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근대 신문으로 보는 음식
    1876년 개항이후 우리나라는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지금까지 없었던 음식이 들어오거나 원래 있었던 음식이 변화를 겪었는데, 이는 자본주의가 개항기 이후 한반도에 정착된 것과 깊은 관계가 깊다. 설탕과 밀가루의 생산, 대중음식점의 성행, 전통주의 소멸과 희석식 소주의 유행 등이 당대 음식의 큰 이슈였다. 근대 음식의 변화는 신문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신문은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발행되므로 대중의 관심사인 음식 기사를 많이 내보냈으며, 매일 발행되므로 음식의 변화를 상세하게 알려주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일제강점기 한국의 우뭇가사리로 만든 일본 과자, 양갱
    양갱은 중국에서 일본에 전해져 정착된 과자로 우뭇가사리를 냉동건조시킨 한천에 팥, 설탕 등을 넣고 쪄서 만든 과자다. 양갱은 일제강점기 조선에 들어와 지금도 팔릴만큼 한국인의 과자로 정착되었다. 양갱의 원료인 우뭇가사리는 일제강점기 본격적으로 한반도 바다에서 채취되었는데 우뭇가사리가 양갱 원료 이외에 의약품, 화장품 등의 원료로 쓰였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우뭇가사리 채취는 주로 제주도 출신 해녀들이 담당하였다. 해방 후에도 한천은 계속 만들어져 주로 외국으로 수출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진주시

    통조림으로 수입했다 국내 생산하게 된 파인애플
    파인애플은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통조림의 형태로 수입되었다. 해방 후에도 외국에서 파인애플 통조림이 수입되었는데, 국내에서 파인애플 재배를 시도해왔다. 제주도 농촌진흥원에서는 1962년 4월 미국 하와이에서 커피, 파인애플, 파파야, 사탕수수의 줄기 등을 구입해서 제주도에 시험재배 하였다. 파인애플은 제주도 중문원예고교에 재직중이었던 강무중 씨가 비닐하우스에서 시험재배 2년만인 1964년 첫 열매를 딴 후 본격적으로 재배되었다. 1967년 육지에 상륙하여 충무를 필두로 진주, 대구, 광주, 나주, 대전을 거쳐 1970년대 초에는 서울근교에서도 재배하게 되었다. 농산물에 대한 수입자유화가 시작되어 1994년에는 파인애플의 98.5%가 수입산이지만, 지금도 농가에서는 파인애플을 재배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