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서울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서울 정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성북구

    조선의 비밀정원 서울 성북동 별서 영벽지
    서울 성북동 별서 영벽지는 성락원내에 있는 연못이다. 성락원은 조선후기 전통정원으로 1992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명승 제35호로 변경 지정되었다. 그리고 명칭도 ‘서울 성북동 별서’로 하였다. 영벽지는 성락원의 부속 연못이기는 하지만 자연미와 인공미가 어우러진, 조선시대 도성 내 남아있는 별서 가운데 몇 안 되는 정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울 성수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성동구

    정세권의 개량한옥촌, 성수동 새촌마을
    여러 모습을 갖고 있는 성수동. 그 안의 작은 마을 ‘새촌’은 일제강점기 때 건양사를 운영했던 정세권 선생이 개량한옥 지구로 개발한 마을이다. 이 마을에 백석 시인과 정현웅 화가가 이사와 살기도 했다. 지금 새촌마을의 골목엔 백석의 시와 정현웅의 그림이 벽화로 다시 그려져 있는데, 이는 시니어 골목재생단 ‘떴다 할매’단의 작품이라고 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새촌마을은 지역 주민들의 참여로 더 활기차고 소박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동네로 바뀌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울중구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민영휘 일가의 종로구 관훈동 민씨 가옥
    서울 종로구 관훈동 민씨 가옥은 일제강점기 대부호로 꼽히던 민영휘의 대저택 가운데 일부로, 1970년대까지 민영휘 일가가 살았다. 관훈동 민씨 가옥의 안채는 개성 지방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 건축양식으로, 서울 지역의 주택에서는 보기 드문 건축양식이다. 1996년 남산골 한옥마을이 조성되면서 안채 일부와 문간채를 옮겨 복원하였으며, 현재 관훈동 민씨 가옥의 안채 마당에서는 전통 혼례 행사가 열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울 칠성사이다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인천 >중구

    1905년 인천에 처음 생긴 사이다공장
    사이다는 일본에서 탄산음료에 사과술의 향과 맛을 가미하여 개발한 음료다. 이것이 개항기 한국에 들어오는데 1905년에는 인천에 사이다공장이 설립되었다. 인천뿐 아니라 원산, 경성, 평양, 목포 등 각 지역에 들어섰고, 모두 일본인들이 경영했다. 조선시대 세종의 안질을 치료한 것으로 유명한 청주 초정리의 탄산수도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소유가 되어 탄산수와 사이다를 생산하였다. 1950년 7인의 실향민이 설립한 회사에서 생산된 칠성사이다는 지금까지 생산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울 서초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서초구

    양재도의 중심 양재역
    양재역은 조선 시대에 찰방이 근무하면서 한강 이남의 양재도를 관할하던 찰방역이었다. 한양 남쪽 지방과 한양을 연결하는 관문으로 충청도·전라도·경상도에서 왕실로 진상하던 물품도 모두 양재역을 경유했다. 마을 이름은 현명하고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이 많이 살던 곳에 역이 설치된 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양재역은 조선 명종 때 벽서사건이 일어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양재역은 ‘말죽거리’로도 잘 알려져 있다. 지금의 양재역 사거리에는 이곳의 옛 지명이 말죽거리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고, 양재역의 남쪽에는 말죽거리공원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강서구

    해맞이 명소로 다시 태어난 서울의 개화산 봉수
    개화산 봉수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과 방화동 경계에 소재한 개화산 정상에 있다. 개화산 봉수는 전국의 다섯 개 봉수 노선 중 제5로의 마지막 봉수이며, 왜군의 침입을 조정에 알리는 역할을 했던 봉수였다. 북서쪽에 있는 김포 냉정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남동쪽에 있는 목멱산 봉수로 연결하였다. 현재 봉수가 있던 개화산 정상부에는 개화산 해맞이공원이 조성되어 많은 시민이 방문하는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전국에서 올라오는 봉수가 모이는 곳, 경봉수(남산봉수)
    서울시 중구 회현동 남산(262m)에는 다섯 개의 봉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봉수는 경봉수, 연변봉수, 내지봉수, 권설봉수로 나누는데, 이 중에 경봉수는 서울에 있는 봉수를 말한다. 서울 남산의 봉수는 전국의 봉수가 모이는 곳이다. 전국의 여러 경로로 올라온 봉수가 다섯 군데로 모였기에 다섯 개의 봉수가 남산을 빙 둘러 있었다. 목멱산 봉수는 태조3년(1394)에 설치되어 고종32년(1895)까지 501년간 운영되었다. 이후 일제가 남산에 신사를 지어 봉수를 없앴는데, 1993년 현재의 모습으로 한 곳을 복원했다. 매일 오전 11시반에 거화의식을 행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서대문구

    동서쪽에 함께 위치한 서울의 무악 봉수
    무악 봉수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에 있는 안산에 있다. 이 봉수는 산 하나에 두 개의 봉수가 있는데, 안산의 동쪽과 서쪽의 봉우리에 두 개의 봉수가 마주 보고 있다. 무악 봉수는 조선 초기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며, 두 봉수 모두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모두 파괴되었고, 동쪽에 있는 봉수만이 1994년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하여 복원되었다. 한편 무악 봉수는 겸재 정선이 그린 경교명승첩의 안현석봉에서도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울노원구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노원구

    근대건축가 박길룡이 지은 노원구 월계동 각심재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월계동 각심재는 한국 근대건축의 선구자 박길룡의 몇 남지 않은 유작 중 하나이다. 본래는 종로구 경운동 66-8에 자리하고 있던 1930년대에 지어진 개량한옥이었는데, 1993년 예안이씨의 각심재 성역화 사업의 하나로 경운동에 있던 한옥을 월계동으로 옮겨왔다. 서울특별시의 지원으로 2014년 10월 31일부터 2015년 12월 10일까지 해체복원공사를 실시하고, 공사가 완료된 이후 현재 재사로 사용 중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강남구

    천년 고찰과 백년 학교를 품은 우리 동네 뒷산 - 수도산
    강남구 삼성동에는 천년 고찰 봉은사와 백년 학교 경기고등학교가 있다. 시내 한복판에 고찰과 학교가 있어서 뜬금없어 보이지만 강남이 개발되기 전부터 봉은사와 경기고는 거기 있어 왔다. 그것도 수도산이라는 당당한 명칭이 붙어있는 산에 말이다. 봉은사와 경기고를 품고 있는 수도산은 어느 동네에나 볼 수 있는 나지막한 산이지만, 고층빌딩과 8차선 도로로 꽉찬 코엑스 시내 한복판에 사는 마을 주민들에겐 오아시스 같은 곳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노원구

    다양한 국수를 골라 먹을 수 있는 공릉동 국수 거리
    보통 전통과 다양함은 어울리지 않는다 생각한다. 허나 전통의 멸치 국수 가게가 서로 어울러져 경쟁하며, 저마다의 특징과 맛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는 공릉동 국수거리에 오면 다양함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전통이 이어진다는 걸 알게 된다. 1980년 후반 시작한 「원조 멸치국수」를 시작으로 이 일대에는 많은 국수가게들이 성업하고 있으며, 나름 칼국수나 왕만두, 비빔국수, 전 등으로 다양화하고 있어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광진구

    한강에서 쉬고, 읽고, 소통하는 서울생각마루
    2019년 5월, 뚝섬한강공원에 위치한 ‘자벌레’가 ‘서울생각마루’로 리모델링 되었다. 자벌레 탄생 10주년을 맞아 노후화된 시설을 보수하고, 운영콘텐츠를 단장해 서울생각마루로 재탄생했다. 서울생각마루는 시민들의 쉼터이자 도서관으로 한강에서 쉬고, 읽고, 소통하는 공간을 지향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서울 석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서초구

    원터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 원지동 석불입상과 석탑
    원지동 석불입상과 석탑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에 있다. 원지동은 조선시대에 여행자들의 숙식을 제공하였던 원(院)이 있었던 곳이다. 미륵은 석가모니불이 험난한 세상에 나타나 고통 받는 중생들을 구제해 줄 미래불로써 민중들에 의해 미륵신앙으로 발전하였다. 미륵당 안에는 미륵불이 모셔져 있고, 미륵당 밖에는 작은 규모의 3층 석탑이 있다. 원지동 석불입상은 원터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져 마을주민들이 매년 10월이면 제사를 지냈었다. 마을이 개발되고 토박이들이 외지로 나가게 되면서 현재는 미륵불의 영험함을 믿는 사람들만 모여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