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전통 공예 기술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충북 >진천군

    범종을 향한 일편단심의 주철장
    쇠를 녹여서 살림살이에 쓰이는 여러 가지 기구인 기물을 만드는 장인을 주철장이라고 한다. 밀랍을 녹여서 만들어진 공간에 쇳물을 부어서 하나하나를 밀랍으로 만드는 것을 밀랍주조기법이라고 한다. 우리 전통의 밀랍주조기법은 일제강점기에 전승이 끊겼는데, 이를 원광식이 1994년에 복원하여 현재 전승하고 있다. 원광식은 2001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포천시

    시간과 땀으로 탄생하는 옷칠을 계승하는 칠장
    칠장이란 나무로 만든 그릇인 목기에 옻나무에서 얻은 나무액을 칠한 그릇을 만드는 기술이자 그러한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옻칠 문화는 2,000여 년이나 되는 긴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옻칠 문화의 장인인 칠장은 2001년에 국가무형문화재가 되었는데, 기능보유자로 정수화가 지정되었다. 국가무형문화재의 칠장 외에 나전칠장, 생칠장, 옻칠장 등의 이름의 시도 무형유산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장흥군

    바른 마음으로 흙에 공을 들여 은회색의 기와를 만드는 제와장
    은회색의 전통 기와를 만드는 기술을 가진 장인을 제와장이라고 한다. 공장에서 만드는 공장제 기와 보다 전통기와는 수분 흡수율과 통기성이 좋아 계절에 따라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제와장은 흙을 잘 고를 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하고 손이 갈라지면서도 수백 번의 과정을 거치며 흙을 매만져야 한다. 그 뒤에 불을 때고도 살피며 마음을 졸여야 좋은 기와를 얻을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