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강원도 속초의 음식문화를 소개하는 자료집이다. 강원도 속초는 산과 바다, 호수가 모두 있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실향민 문화라는 역사적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음식문화를 자랑한다. 명태, 아바이순대 등 지역 별미의 문화적 뿌리를 풍부한 사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강원도 속초의 음식문화를 소개하는 관광지도이다. 속초는 산과 바다, 호수가 모두 있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실향민 문화라는 역사적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음식문화를 자랑한다. 명태, 순두부, 아바이순대, 홍게 등 지역 별미와 주요관광지를 안내하는 지도로 뒷면에는 속초 대표 음식들과 대표 맛집을 자세히 소개한다.
전라남도 앞바다에 서식하는 특별한 생선인 덕자는 예로부터 영광의 여름 밥상에 올라가는 귀한 생선이었다. 생김새가 병어와 비슷하여 덕자의 어종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지만, 그 압도적인 크기는 병어와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이 아닐까 싶다. 이 거대한 크기에서 비롯된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영광에서는 조림보다는 찜으로 덕자를 요리하여 상 위에 올렸다.
외국인들에게 한국 음식을 떠올려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이 비빔밥일 것이다. 전라도의 전주비빔밥, 강원도 영월의 산채비빔밥, 경상도의 진주비빔밥 등 비빔밥의 민족이라고 할 만하다. 각 지역의 특산물을 푸짐하게 얹어 비벼 먹는 비빔밥에는 나물이나 육고기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해양도시 부산에서는 성게 알로 비빔밥을 해먹는데, 바다가 쌀쌀해지기 시작하는 가을부터 제대로 즐길 수 있는 부산 비빔밥의 이름은 앙장구밥이다.
푸아그라(Foie gras)라하면 프랑스의 대표요리이자 한국에서 트러플(송로버섯), 캐비아(철갑상어알)과 함께 세계 3대 진미로 꼽히는 요리이면서, 동시에 동물복지를 외치는 서방세계의 아킬레스건이기도 한 음식이다. 억지로 사료를 먹여 살찌운 거위의 간인 푸아그라의 의미는 지방간(Fatty liver)이다. 푸아그라가 주는 고소하고 녹진한 맛에 하나도 뒤처지지 않는 바다의 푸아그라가 한국에 있다. 바로 아귀 간 요리다.
강원도의 속초물회, 제주도의 자리물회, 포항물회 등 바다를 끼고 있는 전국의 해안 도시에는 저마다의 물회가 있다. 지역에서 잘 나는 횟감을 초장을 푼 육수에 말아 먹는 물회 한 접시는 곧 그 지역의 얼굴마담인 셈이다. 전복의 고장 완도에는 전복을 횟감으로 썰어내 말아 먹는 전복물회가 있다. ‘뱃사람의 해장국’이라는 별명을 가진 물회, 시원하면서 달콤새콤한 맛이 무더위를 싹 날려준다.
고급 생선회의 대명사로 통하는 참치회는 특유의 사르르 녹는 맛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은 메뉴다. 그에 비해, 비슷한 맛과 식감을 내는 삼치회를 먹어본 사람은 그 비율이 극히 적다. 우리나라에서 삼치는 구이용 생선으로 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인데, 사실 싱싱한 삼치회를 먹어본 사람이라면 왠만한 참치회는 저리 가라할 정도로 그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된다. 참치와 삼치는 둘 다 고등어과에 속하며, 크기가 클수록 맛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삼치회 중에서도 으뜸은 전장 1미터가 넘어가는 대삼치다. 고울 려(麗), 물 수(水), 바다가 아름다운 도시에 가면 꼭 먹어봐야 할 생선회다.
단골 횟집이 있다면, 한 두번 즈음 소라 숙회를 ‘서비스’로 맛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씹을수록 쫄깃쫄깃한 식감과 단맛이 풍부하게 느껴지는 소라, 초장에 찍어 먹으면 맛이 그만이다. 이 녀석은 어디에서 왔을까? 그 출생지를 찾아 충청남도 태안 앞바다로 떠난다면 어둑어둑한 밤바다에 맞닥뜨린다. 어둑한 바다에서 환한 불빛을 비추며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 이들은 소라의 맛을 사냥하는 사람들이다.
겨울철 바닷가는 해산물의 천국이다. 우럭이나 광어, 참돔 같은 횟감 생선이 잘 잡히고, 가리비와 대게도 나며, 김과 같은 해조류의 수확기이기도 하다. 김이나 파래의 사촌격인 가시파래(감태) 또한 겨울이 제철이다. 제주도와 울릉도에서 말하는 감태는 바다감태, 남해안 지역에서 말하는 감태는 가시파래를 일컫는다. 가시파래는 곱고 부드러운 질감에 고소하면서도 향긋한 맛이 일품이라 ‘갯벌의 밥도둑’이라고 불린다.
충남 보령 오천항에서 배를 30분정도 타고 나가면 키조개를 잡을 수 있다. 어른 머리만한 크기의 키조개가 서해 앞바다 수심 10~30미터에 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잡히는 식용 조개중에 가장 큰 키조개는 관자도 크다. 키조개의 관자는 그 특유의 쫄깃함으로 유명한데, 버터로 구운 키조개 관자 구이는 어느 고급 레스토랑의 가리비 관자 구이 못지않은 별미다. 잡기도 힘들고 양식도 완전히 되지 않는 우리 바다의 보물에 대해서 알아보자.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이 말은 꼴뚜기가 얼마나 볼품없는 생선으로 인식되고 있었는지를 명백히 드러내는 속담이다. 그러나 꼴뚜기는 그런 취급을 받을 생선이 아니다. 남해안에서는 통칭 ‘호래기’라고 부르는 꼴뚜기는 아직 양식이 안 되기에, 가격이 비싼 고급어종에 속한다. ‘경남의 진주’라고도 불리는 꼴뚜기는 경상남도의 초겨울, 통영과 거제의 방파제 및 수산시장에서 맛볼 수 있다. 아는 사람들만 즐긴다는 호래기 낚시와 호래기 회는 재미와 별미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음식이다.
문어 중에서 돌문어는 1~3kg으로 크기가 작고 육질이 단단하다. 제주도에서는 문게, 물꾸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통 생회, 숙회, 산적, 조림, 죽으로 먹는데 제사상이나 잔칫상에 올린다. 제주도 조천읍에 가면 손수 잡은 이 돌문어를 라면에 넣어 끓여 파는 곳이 있다. 밤이나 새벽에 물이 무릎만큼 빠졌을 때 손전등이나 횃불을 들고 바다에 나가 외갈고리로 돌문어를 잡아올리는데, 이것을 '바릇간다'고 한다. 바릇은 제주말로 바다를 뜻한다.
통영 우도에는 200년이 된 동백나무도 있고, 맛있는 해초비빔밥도 있다. 그날그날 바다에 나가 필요한 양만큼 해초를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해초비빔밥을 먹으려면 예약 필수다. 청각, 모자반, 까시리, 서실, 미역, 톳 등 그날 딴 해초를 밥에 올리고 양념장에 쓱쓱 비벼 먹는다. 이 외에도 거북손, 따개비, 홍합, 고둥 등을 바닷가에서 직접 채취하는데, 그 모습을 보면 산에서 산나물을 뜯듯 똑똑 따낸다.
제주 김치는 지형적 특징으로 바다에서 나는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가 많다. 전복김치는 총각김치, 톳김치와 같이 제주 김치를 대표하는 향토음식의 하나로 조선후기의 고문헌에서도 식용의 기록이 확인되는 음식으로 전복과 유자의 주산지인 제주도와 남부 해안지방에서 만들어 먹는다.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구비전승·어문학 / 어문학
정치와 행정 / 지방정치
경제와 산업 / 총론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