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논매기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남 >화순군

    논김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화순 신성리의 「산아지타령」
    전남 화순군 도곡면 신성리마을에는 고인돌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오래전에 마을이 형성되어 농사를 지었을 것이다. 신성리에서는 '초벌', '한벌', '군벌', '만드리' 등 서너 번 논김을 매는데, 이때는 특정한 노래만 선택해서 부르지 않고 「늦은방아타령」, 「된방아타령」, 「산아지타령」, 「세화자타령」, 「양산도」, 「매화타령」 등을 두루 섞어 부른다. 「산아지타령」은 전라남도 동부 산간지역의 대표적인 논매는소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무안군

    논매기 하면서 세 개의 노래를 부르는 무안 상동마을의 「무삼소리」, 「긴소리」, 「들래기소리」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상동마을에서는 논김을 세 번 맸는데, 논매는소리는 세 번 논김을 맬 때마다 「무삼소리」, 「긴소리」, 「들래기소리」를 차례로 다 부른다. 「무삼소리」는 논에 들어가 논매는소리를 시작할 때 처음 부르는 노래이고, 「긴소리」는 메기고 받는 선후창의 가창방식으로 노래한다. 「들래기소리」는 논을 다 매고 밖으로 나올 때 부르는 노래인데, 노래가 논 밖으로 나와서까지 이어져서 풍물을 치며 논다고 해서 「풍장소리」라고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금산군

    처음 논을 맬 때 충남 금산에서 부르는 얼카산이야소리
    충청남도 금산에서는 모를 심고 처음 논을 맬 때 얼카산이야소리를 불렀다. 얼카산이야소리는 주로 충청도에서 성하게 불리는 「논매는소리」이다. 금산에서는 세 번 김을 매며, 얼카산이야소리는 호미를 이용해 초벌매기 할 때 부른다. 매기고 받는 선후창의 가창방식으로, 전언가사는 1마디로 구성되며, 드물게 2마디짜리도 있다. 디딤가사는 “얼카산이야”, “얼카산이냐” 등으로 구성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