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대구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포크송으로 만나는 ‘대구포크페스티벌’
    ‘대구포크페스티벌’은 2017년 7월 하순 코오롱야외음악당에서 시작하였다. 포크송은 미국의 민요형태로 불러지는 대중가요이다. 이 노래가 1970년대 초 서울의 대학생과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유행하면서 전국적으로 사랑받게 되었다. 이를 대구에서는 문화도시 꾸미기 일환으로 시작해서 현재에 이른다. 노래이다 보니 가수들이 와서 공연하는 형태를 취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서구

    꽃 향기 그득한 ‘대구 장미꽃 필 무렵’
    대구의 ‘장미꽃 필 무렵’은 대구 달서구 이곡동 장미공원에서 펼쳐지는 이벤트 축제이다. 장미꽃이 피는 5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 3일간에 걸쳐 행해진다. 행사 중에는 거리예술공연, 체험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되는데, 장미와 동화나라, 장미공원 음악회, 장미공원 시화전, 장미공원 사진찍기, 장미공원 스케치하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서구

    환상의 빛을 보자 ‘이월드 일루미네이션’
    ‘이월드 일루미네이션’은 2022년 겨울에 처음 시작해서 매년 개최되는 빛 축제이다. 빛 축제의 이야기 주인공 곰돌이 비비와 포포가 안내하는 환상의 빛 언덕을 감상할 수 있다. 빛은 우리 민족 고유의 상징이었다. ‘밝’사상은 ‘맥’의 종족을 낳았고, ‘백’의 지명을 만들었다. 바로 희망, 낙원을 만들어가는 상징으로 밝음을 표현하였다. 백의(白衣)를 오랫동안 입었던 원인도 세파에 물들지 않은 이상향을 찾아가는 상징이었다. ‘이월드 일루미네이션’ 축제에 가면 우리의 밝은 미래를 상징으로나마 볼 수 있을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대구 약령시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대구 진골목의 소중한 문화유산, 정소아과
    정소아과는 정필수가 1947년 현재의 위치에 개업한 소아과 병원이다. 정필수는 정소아과를 개업하고, 62년 동안 진료를 하다가 2009년 건강상의 이유로 문을 닫았다. 그러다가 2017년 정필수가 사망하고, 2018년 정필수의 아들인 정진오가 다시 병원문을 열었다. 정진오는 부친의 유지를 이어가기 위해 병원 건물과 간판을 그대로 보존하였고, 정소아과는 대구 진골목의 근대문화유산으로 남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한약의 대중화를 이끄는 대구의 ‘중앙한약방’
    중앙한약방은 박성환이 1926년 개업한 한약방이다. 처음 박성환이 개업했을 때 상호는 천안당한약방이었다. 박성환의 한약방은 아들인 박재규가 1956년부터 중앙한약방이라는 이름으로 이어왔고, 박재규의 큰아들 박수호가 이어왔으나 2009년 박수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동생인 박신호가 형을 대신하여 가게를 이었다. 박수호는 가업을 잇는 방안의 하나로 중앙가족박물관을 개관하였고, 중앙한약방은 한방의 대중화를 위한 여러 가지 소통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약전골목의 터줏대감, 대구 중구 '광신한약방'
    광신한약방은 1920년대 대구 남성로 86번지에서 이기영이 문을 연 한약방이다. 처음 한약방의 이름은 ‘제화당한약방’이었다. 1957년 이기영의 아들인 이태진이 가게를 이어받으면서 상호를 광신한약방으로 바꾸었고, 1968년 이태진의 아들인 이용식은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대를 이어 가게를 운영하면서 상호의 한자를 한약방(漢藥房)에서 한약방(韓藥房)으로 바꾸었다. 한약방의 자존심을 표현한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대구10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성군

    노을진 하늘에 외로운 따오기 나는, 대구 달성군 하목정
    하목정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 1043-1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대구광역시유형문화재 제36호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낙포(洛浦) 이종문(李宗文:1566~1638)이 임진왜란이 평정된 후 1604년(선조 37)에 하복정을 짓고 강산의 풍경에 묻혀 만년을 보낸 곳이다. 낙동강변의 저녁 노을이 낀 명사십리에 하늘을 나는 따오기의 모습이 장관을 이뤄 하목정이라는 정자명이 유래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성군

    절의의 상징 사육신 박팽년 종택의 정자, 대구 달성군 태고정
    태고정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이다. 보물 제554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시대 사육신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그 후손들이 지은 사당과 종택에 딸려 있는 정자이다. 1479년에 처음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14년에 중수하였다. 절의의 상징처로 조선시대에도 수많은 문객들이 찾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대구 민속놀이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수성구

    소박하지만 다양한 볼거리를 가지고 있는 대구고산농악
    고산농악은 대구광역시를 대표하는 농악으로 이 농악이 전승되는 지역은 수성구 대흥동이다. 본래 경산시에 속해 있던 고산동은 대구광역시로 편입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농사를 중심으로 한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다. 전통사회에서 고산농악은 모내기와 김매기를 비롯해 마을의 여러 행사에 참여해 흥을 돋우긴 했으나 오늘날에 행해지는 내용은 당산제굿과 이 굿이 끝난 뒤에 행하는 지신밟기, 그리고 판굿이 중심으로 연행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구 >군위군

    달밤 아래 남자들이 벌이는 격렬한 겨루기, 박시놀이
    박시놀이란 정월 대보름 무렵의 달밤에 남성들이 벌이는 세시풍속 중 하나로 상당히 격렬하다. 편을 나눠 같은 편끼리 서로 팔짱을 끼고 일렬로 서서 어깨로 상대편 대열을 뚫고 나가면 이기는데, 이긴 쪽은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다. '박시'는 박치기에서 왔다는 설도 있고, 대장을 박수라고 부르는데서 왔다는 설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대구 석장승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달서구

    여의주봉을 쥐고 있는 대구 신당동 석장승
    신당동 석장승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에 세워져 있다. 마을 사람들은 신당동 석장승을 ‘장승비’라 부르고 있다. 장승 정상에는 탕건 형태의 관모를 새겼고, 얼굴에는 눈썹, 눈, 코, 입을 새겨 놓았다. 장승의 손에는 여의주봉을 들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정월대보름이나 섣달그믐이 되면 마을사람들과 인근에 사는 사람들이 신당동 석장승에 와서 제를 지냈으나, 한국전쟁 이후 중단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대구 계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 달성군

    용연사 석조계단
    보물 제539호 용연사 석조계단은 본래 동화사 말사인 용연사는 신라 하대 신덕왕 3년(914) 보양(寶壤)이 창건한 사찰로, 창건 이후 고려 시대까지 연혁은 알려지지 않았다. 용연사 석조계단은 불사를 봉안한 통도사 금강계단을 모방한 것으로 통도사에 있던 부처의 진신사리를 나누어 봉안하였다. 이곳에 통도사 사리를 봉안하게 된 것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부터다. 당시 승장 유정이 왜구를 피해 제자 청진(淸振)으로 하여금 통도사 사리를 용연사에 봉안하게 한 것이다. 용연사 경내에 세운 사바교주석가여래부도비명 기록을 통해 광해군 5년(1613)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754년 세워진 용연사사적비와 석가여래중수비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확인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대구북구 토속민요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7건)
자세히보기
  • 담바구 타령(원곡)

    출처 :대구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북구

    담바구 타령(원곡)
    대구 북구 지역의 토속민요를 발굴•보전하기 위해 제작된 디지털 음반이다. 토속민요 10곡을 채보하여 편곡하고, 국악기와 함께 녹음하여 염불타령, 담바구타령, 오흥혜야 타령, 각설이 타령 등 총 17곡을 수록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불매 딱딱 불매야(원곡)

    출처 :대구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북구

    불매 딱딱 불매야(원곡)
    대구 북구 지역의 토속민요를 발굴•보전하기 위해 제작된 디지털 음반이다. 토속민요 10곡을 채보하여 편곡하고, 국악기와 함께 녹음하여 염불타령, 담바구타령, 오흥혜야 타령, 각설이 타령 등 총 17곡을 수록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방구타령(원곡)

    출처 :대구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대구 >북구

    방구타령(원곡)
    대구 북구 지역의 토속민요를 발굴•보전하기 위해 제작된 디지털 음반이다. 토속민요 10곡을 채보하여 편곡하고, 국악기와 함께 녹음하여 염불타령, 담바구타령, 오흥혜야 타령, 각설이 타령 등 총 17곡을 수록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대구 >중구

    대구 지역 최초의 서양식 주거 양식인 선교사블레어주택
    대구 청라언덕에 자리 잡은 선교사 블레어 주택은 개항장 부산을 통해 대구로 온 선교사 블레어가 살던 집이다. 선교사들이 집을 지은 청라언덕은 당시 공동묘지였다. 선교사 블레어주택은 1910년경 건축된 것으로 당시로서는 최첨단 공법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기초를 다지고 지하실을 만든 다음 2층 벽돌집으로 건립하였다. 선교사 블레어주택은 대구에서는 처음으로 서양식 주거 양식과 생활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건축 유구로 평가받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거제시

    진해만의 대구 잡이
    대구포는 대구를 말린 것으로 밑반찬이나 제사음식으로 쓰였다. 대구포를 만드는 대구어는 경남 창원 인근의 진해만이 최대 어장이다. 진해만에 있는 대구어장의 중심은 거제군 장목면 외포리이다. 1979년 무렵에는 어민 450여명이 60여척의 배로 대구를 잡을 정도였다. 한반도의 대구어는 동해 계통 대구어와 서부 황해계통의 대구어로 나뉜다. 황해방면의 대구어는 체형이 왜소하고 동해계통 대구어보다 맛이 떨어진다. 진해만의 대구어는 동해 계통 대구어가 산란을 위해 왔다가 잡히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