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보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염재보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보성군

    안규홍의병의 의사안공파청승첩비
    의사안공파청승첩비는 안규홍의병장이 처음 의병을 일으켜 승리를 거둔 파청전투를 기념하는 비이다. 안규홍의병장은 머슴 출신으로 정미의병기에 보성을 중심으로 인근 고흥·여수·돌산·곡성·남원·구례·장흥·순창에 이르는 전라도 지역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이 비는 1947년 보성향교에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내놓고 싸우다가 순국한 그의 나라사랑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의정부시

    억울함을 고하는 박태보
    박태보는 자신의 무고함을 고하는데도 숙종의 심문이 가혹해지자, 자신이 서인이어서 가혹한 심문이 이어진다고 여긴다. 당시 조정에는 장희빈의 편에 있는 남인세력과 인현왕후의 편에 있는 서인세력이 명호를 정한 사건 이후로 서로 다른 입장에 있었고 숙종은 원자 책봉에 반대한 서인들을 견제하고 있었다. 상소에 참여한 이들이 대부분 서인이어서 숙종은 상소의 배후에 왕명에 도전하는 세력이 있다고 여겼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의정부시

    박태보, 임금에게 도리를 간언하다
    박태보를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은 상소였다. 상소에 참여한 86명의 관료를 대표해 박태보는 숙종이 인현왕후를 폐출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조목조목 기록하였다. 비록 임금의 명령일지라도 그것이 유교에서 말하는 인간의 도리에 맞지 않는다면 그리하면 아니 된다는 요지의 내용이었다. 임금의 명령을 반대하는 목숨을 건 상소였지만 임금이 하늘의 뜻을 거스르게 하지 않으려는 신하의 도리로 간언을 한 것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의정부시

    이야기로 기록되고 기억된 박태보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은 기사환국을 배경으로 일어난 박태보의 행적과 추승을 36편의 기사로 기록한 것이다. 실록을 볼 수 없었던 당대의 선비들과 백성들은 「기사민절록」을 통해 박태보의 이야기를 접했다. 이후 박태보의 이야기는 여러 개의 이본으로 만들어져 널리 읽히면서 한 선비의 충절이 백성들과 임금, 선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고구려 보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5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중랑구

    봉수대가 있고, 도당굿이 열리는 서울 봉화산보루
    서울의 봉화산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의 4개 동 목동, 신내동, 상봉동, 중화동에 걸쳐 있는 해발 160.1m의 산이다. 이 산 위를 둘러 보루가 설치되어 있다. 봉화산은 곧바로 남산으로 대응하기에 아주 중요한 관방유적이었다. 봉화산 보루의 특징은 보루 안에 봉수대가 있었고, 도당굿을 행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유적으로 보아 보루는 고구려 때 쌓은 것이고, 봉수대는 조선조에 시행한 것이며, 보루 안의 도당굿도 조선조 때 시작하여 400년 이상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광진구

    한강을 따라 올라오는 적군을 감시하는 서울 홍련봉1~2보루
    홍련봉은 땅콩 모양으로 가운데가 잘록하고 양쪽으로 작은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 해발 125.1m의 남쪽 봉우리에 1보루가 있고, 해발 126.3m의 북쪽 봉우리에 2보루가 있다. 두 보루 사이는 약 150m 정도 떨어져 있다. 홍련봉보루에 오르면 송파구와 강동구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그곳에는 한강과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있다. 이 때문에 한강을 거슬러 오는 적을 관측할 수 있어 미리 전쟁에 대비하기 좋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 홍련봉보루 뒤로는 아차산보루군과 망우산보루군과 용마산보루군과 시루봉 보루 등 보루의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들 보루는 2004년 10월 사적 제455호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중랑구

    삼국시대 유적이 발견된 서울 면목동 일대 용마산1~7 보루
    서울 용마산은 해발 348m의 높이로 아차산의 최고봉이다. 면목동, 망우리, 중곡동 간의 산릉선을 따라 망우리에서 아차산성을 거쳐 어린이대공원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곳에 고구려와 신라 시대의 보루 7개가 있다. 보루는 적군을 막거나 공격하기 위해 흙이나 돌로 튼튼하게 쌓아 놓은 진지이다. 용마산 지역은 아차산성 지역의 아차산 보루와 망우산 보루와 용마산 보루가 집중적으로 있다. 그만큼 이 지역이 5, 6세기 중요한 군사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보양식 맛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전 >서구

    피난 시절부터 이어진 보신 음식 문화, 대전 '평양옥'
    평양옥은 이군백이 대전광역시 동구 중동 중교다리에서 1951년 처음 천막을 걸고 시작하였다. 6.25전쟁으로 평양에서 대전으로 피난을 내려오면서 대전에 자리를 잡은 것이다. 북한에서는 개고기를 단고기라 부르며, 다양한 방식으로 요리를 해서 먹는 보신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중동에서 시작한 평양옥은 삼천동을 거쳐 2000년에 현재의 위치인 만년동으로 자리를 옮겼다. 지금은 이군백의 며느리인 주이순이 가게를 이어가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양시

    안양 '봉암식당', 안양유원지와 반세기를 함께 한 음식점
    봉암식당은 1932년에 개장하여 한때 수도권 최고의 피서지였던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의 안양유원지에 있는 보양식 전문 식당이다. 1968년 창업주 문태화 씨가 개업한 이래 1971년 아들 문홍식, 유정례 씨 부부가 2대 경영을 해오다가 2007년 손자 문병철 씨 부부가 계승하여 3대에 걸쳐 운영해오고 있다. 안양유원지가 안양예술공원으로 변모하기까지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안양유원지의 흥망성쇠를 함께 한 봉암식당은 한결같은 손맛과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내 식구에게 먹인다는 마음가짐으로 건강한 음식을 내기 위해 노력하는 식당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금정구

    평양에서부터 이어진 전통 보양음식점, 부산 '박달집'
    박달집은 1920년대 박여숙이 평안도 평양시 신리에서 개장국집을 열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이때의 상호는 박달집이 아니라 성천관이었다. 1951년, 박여숙은 1·4후퇴 때 평양에서 강원도 삼척으로 월남하여 개장국 가게를 이어갔다. 박달집은 1987년 삼척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고, 박여숙의 외손자인 임완규가 가게를 잇게 되면서 상호도 박달집으로 바꾸었다. 박달집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오래된 음식점으로 부산의 전통 개장국 및 영양탕 전문점이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삼계탕과 소고기 보양탕도 판매하고 있다. 지금은 임완규의 아들 임승백이 가게를 잇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보은군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1361호)
    속리산 법주사 원통보전에는 나무로 깎아 만든 조선시대 관음보살상이 있다. 불상내부에서 조성기가 발견되어 1655(효종 6)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목조관음보살좌상은 형식이 단순하고 소박하지만 단일 형상으로 크기가 크고 부피감이 있어,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상의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보은군

    보존상태가 좋고 형태가 세련된 보은 법주사 철확
    보물 제1413호 법주사 철확은 높이 120㎝, 지름 270㎝로 현재 법주사 경내 금강문(金剛門) 왼쪽에 놓여 있다. 신라시대 성덕왕 때에 주조된 것으로 구전되어 오고 있지만, 본래는 냇가에 있었던 것을 현 위치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의 어느 시기에 주성(鑄成)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초대형 철솥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할 뿐만 아니라, 형태 또한 세련되어 있어 당시의 주조 기술을 살피는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보은군

    보은 풍림정사에서 후학양성과 저술에 힘쓴, 박문호
    박문호는 충청북도 보은군 회북면에서 태어나, 어릴 때 아버지와 집안 어른들에게 글을 배우고, 20세 되던 1865년(고종 2)부터 어당 이상수를 스승으로 삼았다.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매번 낙방하였다. 과감히 과거를 포기하고 공부에 몰두하였으며, 보은 풍림정사를 세워 후학들을 양성하면서 평생 백여권의 저술을 남겼다. 특히, 그가 남긴『여소학』은 개화기 최초의 여성 교육서로 의의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보령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보령시

    마을의 전염병 예방을 위해 모셔온 보령 신송리 당제
    충남 보령 신송2리 고잠마을에는 당산이 가운데 우뚝 솟아 있고 그 정상에 당집이 있다. 당제를 모셔온 이유는 마을에 전염병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처음 당집은 일제강점기에 지은 초가집이었으나 1991년 보령군의 지원으로 2칸 와가로 개축하였다. 신송리 당제는 2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음력 1월 2일에 지냈으나, 명절 다음날이라 당주를 맡으려는 사람이 없어 1월 5일로 변경하였다. 신송2리 고잠마을에서는 여전히 젊은 사람들을 중심으로 당제를 모시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의보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하늘의 뜻을 거부하는 유산법(流産法)
    원치 않는 임신을 했을 때 아이를 떼는 방법을 유산법(流産法)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는 낙산(落産), 소산(小産)이라고도 한다. 유산은 하늘에서 점지해준 아이를 의도적으로 없애는 것으로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였다. 따라서 잘 언급되지 않은 소극적 민속이었다. 그래서 유산법에는 아이를 떼는 법과 함께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하는 예방법도 함께 전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봉화 문화 이야기 '봉화 성황제 재현'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북 >봉화군

    봉화 문화 이야기 '봉화 성황제 재현'
    경북 봉화군 거수마을의 성황재를 재연한 영상이다. 성황제란 마을을 지키는 성황신에게 올리는 제의를 말하며, 주로 풍년, 무병장수 같은 마을 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했다. 토템 신앙을 간직한 거수마을의 거북바위 서낭당에서 성황제 제의를 재연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봉화 문화 이야기 '성황당 거북바위'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북 >봉화군

    봉화 문화 이야기 '성황당 거북바위'
    경북 봉화군 봉화읍 거수마을에 있는 거북바위에 대한 영상이다. 거수는 광산 김씨의 집성촌으로, 거북이를 닮은 바위를 수호신으로 삼아 당제를 지냈다. 거북바위는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 모양 바위를 신성시한 토템 신앙을 보여주는 향토유물이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봉화 문화 이야기 '내성 보부상 이야기'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북 >봉화군

    봉화 문화 이야기 '내성 보부상 이야기'
    경북 봉화군에 산재한 보부상의 흔적을 찾아가는 다큐멘터리이다. 보부상은 전통사회에서 시장을 중심으로 봇짐이나 등짐을 지고 행상을 하던 상인을 말한다. 천민이라는 신분적 제약에도 궂은 일을 마다치 않으며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교환경제를 이루는 중간자 역할을 했던 보부상의 변모 양상을 다룬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보림극장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부산 동구 '극장트리오'

    출처 :부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부산 >동구

    부산 동구 '극장트리오'
    영화 촬영지(영화 ‘친구’ 등) 정도로 인식되었던 부산 동구 범일동 ‘극장 트리오(삼일, 보림, 삼성 극장)’의 이야기를 다룬 영상이다. 이들 극장에 관련된 이야기들과 함께, 학생, 신발 고무 공장 노동자들로 북적이던 인근 골목의 생활상을 조명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