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천안시와 공주시의 경계에 있는 차령은 조선시대에 한양과 호남지방을 연결하는 최단 구간으로 관리들이 주로 이용했던 길이다. 차령의 서쪽에는 쌍령이 있었으며, 일반 나그네들은 쌍령을 자주 이용했다. 차령이 관로로 삼남대로의 구간에 포함되면서 쌍령보다 차령이 더 중요한 교통로가 되었다. 근대 들어 우리나라에 신작로가 개통되고 철로가 부설되면서, 차령은 이들 모두로부터 소외된 길이 되어 버렸다. 서울과 전라도를 잇는 주요 간선 교통로가 차령을 우회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논산천안고속도로가 쌍령을 통과하고, 국도 제23호선이 차령의 옛 구간을 통과한다.
강화로는 조선시대에 한양에서 한강을 지나 강화도로 이어지던 옛길이다. 강화도는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과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과 가까워 수도로 가는 관문이었으며 서해로 진출입하는 수로교통의 중심지였다. 또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군사 요충지였다. 강화로 옛길은 구간 거리가 짧고 많은 군현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시대의 다른 간선도로에 비해 물자나 사람의 이동은 많지 않았다. 강화대교와 교동대교가 개통하면서 과거의 강화대로는 모두 도로로 연결되었다
안기도는 조선시대 경상도 안동에 있던 안기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며, 경상북도 북부 내륙에서 백두대간을 넘어 동해안으로 연결되던 역로를 관할했다. 조선시대 들어 여러 차례의 역로 재편을 거쳐 최종적으로 안기도가 획정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창락도를 통합하기도 했고 일부 역을 송라도에 이속시키기도 했다. 안기도 가운데 안동시에서 의성군, 군위군을 지나 영천시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국도와 함께 중앙선 철도가 통과한다. 안동에서 동해안의 영덕으로 이어지는 구간은 동해안에서 잡은 고등어가 안동으로 이동하던 안동 간고등어길이기도 하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삼강행실도」의 「충신도」에 그려진 이야기는 불사이군의 충절의 상징인 야은 길재를 그린 것이다. 고려 말의 문신이었던 길재는 정국이 혼란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해 은둔하였다. 조선조에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금오산 아래에서 평생 학문을 닦고 후학을 가르쳤다. 군신의리(君臣義理)의 상징이 된 길재의 절의 사상과 실천은 사림들의 학풍 중 하나로 자리 잡았고 조광조에게까지 이어져 조선 도통의 계보를 이루는 중요한 한 지점이 되었다.
조선 초기 성리학 교육은 관직에 필요한 문장력을 익히는 과거 시험에 맞추어져 있었다. 점필재 김종직도 시가와 문장을 잘 짓는 사장(詞章)에 능했고 이를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하지만 야은 길재의 제자였던 부친 김숙자의 영향으로 『소학』을 먼저 가르치고 『주자가례』의 실천을 강조하면서, 성리학의 가르침이 시문을 강조하는 사장학에서 도의 실천을 강조하는 도학으로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불사이군과 충절의 상징이 된 야은 길재가 제자들에게 가장 먼저 가르친 것은 『소학』이었다. 『소학』은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와 인간 행동의 규범, 실천 방법을 가정과 일상에서 어떻게 행해야 하는지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규범들을 가르치는 책이다. 효에 관한 내용이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가족관계의 윤리를 강조하는 듯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글을 배우기 전에 먼저 인간이 되는 법을 가르치고 있었다. 『소학』을 강조한 길재의 교육철학은 가르침에서 끝나지 않았고 직접 효의 실천을 보여 충의 실천과 함께 후대에 큰 본이 되었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은 낙동강과 양산천이 만나는 곳이다. 이 곳에서 낙동강의 상류 방향으로 조금 이동하면 ‘황산강 베랑길’을 만날 수 있다. 황산강 베랑길은 낙동강 변에 있던 가파른 절벽의 벼랑길을 의미하며, 황산잔도로 불리기도 한다. 잔도(棧道)는 가파른 벼랑길을 지나기 위해 나무를 선반처럼 내매어 만든 길이다. 황산잔도는 낙동강을 아래에 두고 깎아지른 절벽 위에 있어 매우 위험천만한 길로 알려져 있으며, 한양으로 과거를 보기 위해 지나던 영남대로 가운데 가장 험준한 구간이었다. 황산잔도는 낙동강을 따라 경부선 철길과 자전거 도로가 잘 어울리면서 ‘황산강 베랑길’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애월 환상자전거길은 애월 해변을 따라 마음 놓고 자전거를 타며 달릴 수 길이다. 행정자치부가 가을 자전거 여행길로 선정한 ‘아름다운 자전거길 100선’ 에 선정되었을 정도로 멋지고 아름다운 길이다. 전체 제주환상자전거길 234Km 중 용두암에서 다락쉼터, 해거름마을 공원까지 이르는 1~2코스가 여기에 해당된다. 다락쉼터에선 인증도 받을 수 있고, 화장실도 갈 수 있다. 제주 바다를 옆에 끼고 달리는 자전거길에서 스트레스를 날려보자.
2013년 11월에 조성된 ‘고덕산 자락길’은 약 700m 길이의 순환형 숲길이다. 폭은 2m, 경사도 8% 미만으로 유모차, 휠체어 등의 바퀴가 빠지지 않도록 바닥을 평평한 목재데크 혹은 친환경 마사토를 이용해 다져 놓은 무장애자락길로 남녀노소 누구나 산책하기에 편리해 인근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고 있다.
동래로는 조선시대에 수도인 한양에서 충청도를 지나 경상도 동래 지방으로 연결되던 간선도로로서, 영남지방으로 향하는 도로라는 데에서 영남대로라고 불리기도 한다.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가장 안전한 내륙에 위치하여 전략상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정치·군사적 기능도 함께 지니고 있었다. 이 길은 영남지방의 선비들이 큰 꿈을 품고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지나던 ‘과거길’ 이었고, 다른 나라의 문물이 전파되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
혼례의 한 과정으로 육례 중에 세 번째 의례가 납길이다. 택일, 날받이, 연길이라고도 하며, 혼인하기 좋은 날을 정하여 신랑이 신붓집에 알려주는 의례이다. 반대로 신붓집에서 신랑집으로 알려주기도 하는데 이를 연길이라 한다. 육례가 점차 사례로 축소되면서 생략되었으며, 요즘은 하객들의 참석을 배려하여 주로 주말에 날을 잡는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은 낙동강과 양산천이 만나는 곳이다. 이 곳에서 낙동강의 상류 방향으로 조금 이동하면 ‘황산강 베랑길’을 만날 수 있다. 황산강 베랑길은 낙동강 변에 있던 가파른 절벽의 벼랑길을 의미하며, 황산잔도로 불리기도 한다. 잔도(棧道)는 가파른 벼랑길을 지나기 위해 나무를 선반처럼 내매어 만든 길이다. 황산잔도는 낙동강을 아래에 두고 깎아지른 절벽 위에 있어 매우 위험천만한 길로 알려져 있으며, 한양으로 과거를 보기 위해 지나던 영남대로 가운데 가장 험준한 구간이었다. 황산잔도는 낙동강을 따라 경부선 철길과 자전거 도로가 잘 어울리면서 ‘황산강 베랑길’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