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지명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부산 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4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부산 >부산진구

    하마비가 서 있는 부산광역시 양정동의 하마정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화지산(和池山)’이 소재해 있다. 화지산에는 동래 정씨 기세조인 정문도(鄭文道)의 묘소가 있다. 정문도가 유명을 달리하자, 그 아들 정목이 화지산에 묘를 썼다. 그런데 도깨비들이 나타나 목관을 파헤쳤다. 백발노인이 보릿짚이 도깨비들에게는 금빛으로 보이니, 보릿짚으로 목관을 쓰면 된다고 해서 그렇게 했더니, 더 이상 도깨비들이 파헤치지 않았다. 정문도 묘소 앞에는 하마비가 세워져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왜장도 말에서 내려 걸어갔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해운대구

    푸른 뱀이 나타난 부산광역시 송정동의 청사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1동에 ‘청사포(靑沙浦)’라 불리는 포구가 소재해 있다. 원래는 푸른 뱀이 나타난 포구라는 의미로 ‘청사포(靑蛇浦)’라 불렀지만, 지명에 뱀[蛇]이 들어가면 좋지 않다고 해서 모래 사(沙)로 바꾸었다고 한다. 옛날 청사포 인근 마을에 정씨 부부가 살고 있었다. 정씨 부부는 금실이 좋아 남편이 배를 타고 나가면 부인은 마을 입구 바위에 올라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던 어느 날 바다에 나간 남편이 몇 년 동안 돌아오지 않았다. 남편을 기다리던 정씨 부인 앞에 푸른 뱀 한 마리가 나타나 용궁으로 안내하였다. 그리고 그곳에서 남편을 만날 수 있었다. 남편은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이었던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북구

    천국부가 장을 세운 부산광역시 화명동의 장터껄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장터껄’이라 부르는 곳이 있다. 옛날 소금배를 이용해 낙동강 상류로 장사를 다니던 천국부라는 사람이 장을 열었다는 곳이다. 천국부는 가짜 엽전들을 싸게 사서 소금물로 엽전을 녹이 슬게 해 부자가 되었다. 또한 양산시 화제마을 갯벌에 정박해 있던 배에서 엽전을 얻어 부자가 되었다고도 한다. 한편 그에게는 아들이 한 명 있었는데, 백 칸의 집을 지어서 역적으로 몰려 집안이 망하게 되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남해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백이정의 부모가 큰 대문 집을 짓고 살았던 남해 대문골
    옛날 성이 백 씨인 한 총각이 머슴을 살고 있었다. 하루는 나무를 해서 산에서 내려오다가 한 처녀를 만났다. 산에 잠을 자러 간다는 처녀의 말에 총각은 처녀를 데리고 주인집으로 와서 재워주었다. 그것이 인연이 되어 둘은 부부가 되었다. 아들딸 낳고 대문 달린 큰 집을 짓고 살던 중, 부인이 자신은 원래 서울 출신이라며 친정 부모님께 소식을 전했고, 부부는 아들 하나를 외가에서 공부하도록 했다. 아들이 고려 문신 백이정이다. 훗날 큰 대문이 있던 마을이라 해서 백이정의 아버지가 살던 마을을 대문골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지도를 파랗게 칠한 덕분에 왜군을 이긴 남해 가청이 마을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몇 해 전, 왜국에서는 조선에 염탐꾼을 보냈다. 그의 정체를 알아챈 유성룡의 형은 벙어리 유서방 행세를 하며 그와 함께 다녔다. 하루는 염탐꾼이 잠들자 지도를 꺼내어 남해군 오곡리 일대를 파랗게 칠했다. 임진왜란 중, 조선 수군에 쫓기던 왜군은 지도에서 파랗게 칠해진 부분을 바다인 줄 알고 그쪽으로 도망을 쳤지만 육지에 막혀 조선 수군에 몰살을 당했다. 이후 ‘푸른빛을 더하다’라는 뜻으로 이 마을을 ‘가청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아산시

    마을수호신 황룡이 다시 돌아온 회룡리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회룡리 마을에 절터가 있는데, 이곳에는 하늘에서 잘못을 저질러 지상으로 내려온 황룡이 살고 있었다. 황룡은 절터와 마을 사람들을 보호하며 3년을 살면 다시 하늘로 돌아갈 수 있었는데, 하루는 세종대왕과 그 일행이 온양온천을 가는 도중 길을 잃고 헤매고 있을 때 농부로 변신하여 도와주었다. 그러나 절터를 벗어나지 말라는 계율을 어긴 탓에 이무기로 변했다. 이 소식을 들은 세종대왕이 절을 다시 짓게 했고, 하늘에서는 황룡에게 다시 절터로 가서 지내도록 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황룡이 다시 돌아온 것을 기념해 회룡리(回龍里)라 이름 붙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보령시

    판서가 살던 마을, 보령 판서골
    당쟁에 남편을 잃은 부인이 어린아이를 데리고 시골로 왔다. 부인은 열심히 일을 하고 돈을 모아 아이를 서당에 보냈다. 하루는 아들이 나무를 하러 갔다가 길을 잃고 산속에서 아름다운 처녀를 만났으나 어머니의 말을 듣고 보니 그녀가 아버지를 죽인 원수의 딸이라는 걸 알게 되어 마음을 접고 공부를 하여 벼슬을 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꿈에 도승이 나타나 원수의 딸과 결혼하라고 한다. 서로 마음을 확인한 두 사람은 어머니를 설득하여 둘은 결혼하였고, 아들은 판서 벼슬까지 올랐다. 나이가 들어 부인과 어머니를 모시고 어려서 살던 곳에 내려와 살았다. 후에 마을 사람들은 판서 벼슬까지 오른 분이 살던 곳이라 해서 판서골이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논산시

    태조 왕건의 꿈 해몽을 잘 해줘서 받은 왕밭
    태조 왕건은 후백제와 전쟁 중 잠깐 쉬는 동안 꿈을 꾸었다. 꿈이 하도 기이해서 해몽을 잘한다는 무당이 사는 논산 부적면 부인리로 가서 만났다. 무당은 곧 후삼국을 통일할 꿈이라고 풀이를 했다. 이에 고무된 태조와 부하들은 후백제와의 싸움에서 이겼다. 이후 태조는 꿈 풀이를 잘해준 보답으로 무당에게 밭을 하사했는데, 이를 지역사람들은 왕이 준 밭이라 해서 왕밭이라 했다. 이곳이 충남 논산 광석면 왕전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구좌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고종달이가 물혈을 끊은 제주 종달리
    옛날 진시황이 지도서를 펴놓고 보다가 제주도의 혈이 심상치 않음을 알아차렸다. 그는 고종달이에게 제주도의 물혈을 모두 끊어 놓고 오라고 했다. 고종달이는 대머들이라는 마을에 도착해서 물징거라고 불리는 샘물의 줄기를 단번에 끊어 버렸다. 이후 물징거의 물이 마르자 마을 사람들은 더이상 그곳에서 살 수가 없어 물이 나오는 바닷가 쪽으로 이주했다. 고종달이가 다녀간 곳이라 하여 그곳을 종달리라고 불렀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포항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포항시

    호랑이도 감동시킨 효자가 살았던 포항 효자동
    옛날 경북 포항 한 마을에 홀어머니와 효자 아들이 살았다. 하루는 병에 걸린 어머니가 홍시가 먹고 싶어 했다. 아들은 대구로 시집간 누나를 찾아가기로 했다. 밤중에 산길을 가는데 호랑이가 나타났다. 사정을 들은 호랑이는 아들을 태워 순식간에 누나에게 데려다주었다. 마침 누나의 집에 홍시가 있어 아들은 그것을 어머니에게 드릴 수 있었다. 이후 효자가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이름을 효자동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지명의 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 지방문화툰 (2건)
자세히보기
  • 강원도 원주시 단구동 지명유래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강원 >원주시

    강원도 원주시 단구동 지명유래
    강원도의 단구동은 '단구(丹邱)'라는 약재로 쓰이는 '붉은 빛이 나는 바위가 있는 언덕'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지명유래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관심지역 경기 >수원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지명유래
    경기도 연무동은 이 지역 부근에 동장대라는 곳에서 옛날 군사훈련과 무슬연마가 이루어진거에서 유래되었다.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물레고개와 가락동
    법수산에서 서북으로 능선이 흘러 대평늪에서 끊어질 듯 솟아 북쪽 외범산과 이어지듯 백산 들에 빠져버린, 들 가운데 외로이 솟은 산을 강석산이라 한다. 대송리의 뒷산이기도 한 이 산은 우리네 할머니가 물레를 잣으며 길쌈을 하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어 불리어지는 지명들이 있는데 물레고개, 앗씨고개, 할미고개, 가락등, 덕고개가 그것이다. 물레고개란 고개 마루가 있는 것이 아니라 물레 자체를 지칭한 것이며, 지금의 문현동(文峴洞)을 가르키는 것으로 문현을 아직도 "물레곡” 또는 “물레골” 이라고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창원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창원시

    머슴과 혼인하여 일가를 이룬 오동, 창원시 오동동
    옛날 진주의 최대감에게는 애지중지하는 딸 오동이 있었다. 그런데 오동이 집안 머슴 돌쇠와 사랑에 빠졌다. 이 사실을 안 최대감은 둘을 광에 가두었다. 최 대감의 부인이 딱하게 여겨 노자와 패물을 준 후, 도망쳐 살도록 했다. 오동과 돌쇠는 마산 작은 포구에 도착해 살림을 차렸다. 돌쇠는 옹기를 구워 팔아 꽤 많은 돈을 모았고 오동은 아들 하나를 낳았다. 부부는 돈을 주고 참봉 벼슬을 사서 아들에게 성을 물려주었다. 아들은 잘 자라 장원급제를 했다. 부모님께 자신이 잘사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었던 오동은 몇십 년 만에 식구들과 진주로 찾아갔고, 최대감과 눈물의 화해를 했다. 이 사실이 마을에 퍼지면서 그 마을을 ‘오동마을’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개가 토한 밥을 시부모에게 올린 며느리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웹툰 충남 >아산시

    개가 토한 밥을 시부모에게 올린 며느리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6동에 속한 '풍기동'에는 마을 이름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진다. 백제시대 때 마을에 '기득'과 '풍순'이라는 이름을 가진 부부가 연로하신 부모님을 모시고 살았다. 한편 남편 기득은 문주왕의 명령으로 나간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었다. 홀로 시부모님을 모시고 살던 풍순은 먹을 것이 없어 이웃 마을로 음식을 구하러 갔다. 그때 개 한 마리가 풍순 앞에 나타나 보리밥을 토하자 풍순은 이를 주워담아 깨끗이 씻어 시부모님께 드렸다. 갑자기 하늘에서 천둥이 쳤고, 풍순은 죄를 말하고 용서를 빌었다. 그러자 벼락이 떨어져 황금이 담긴 바위를 깨뜨렸다. 이후 풍순은 걱정없이 시부모를 봉양했다.
  • 테마스토리 충남 >아산시

    강씨의 재산을 물려받은 이간이 살았던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외암리가 소재해 있다. 외암리는 시흥역의 말을 거두어 먹이던 곳이라서 오양골리라고 부르다가, 시간이 흘러서 지명이 생긴 것으로 추측한다. 한편, 조선시대 후기 학자인 이간(李柬)의 호를 따서 지명이 생겼다고도 한다. 옛날 송악에는 목씨와 강씨들이 먼저 들어와 살았고, 예안이씨들이 조선시대 단종 무렵에 들어오게 된다. 시간이 흘러, 마을에서 부자로 소문난 강씨의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모든 재산을 이씨에게 물려주라고 한다. 강씨는 자신의 재산을 물려줄 이씨를 찾았는데, 그가 바로 이간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아산시

    맹사성이 타고다닌 검은 기린을 처음 만났던 충남 아산의 기린고개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에 기린고개가 있었다고 한다. 기린고개는 맹사성이 타고 다녔던 검은 기린이 나타난 곳이라 하여 이름 붙여진 고개이다. 하루는 맹사성이 집에서 글을 읽다가 머리를 식히기 위해 산책을 나왔고, 우연히 산짐승을 발견한다. 마침 나무를 하려던 청년들로 산짐승을 보고 잡으려 했다. 이에 맹사성은 청년들을 훈계하고, 산짐승을 살려주었다. 그러자 산짐승은 맹사성을 따라 왔고, 이때부터 맹사성의 집에서 살게 되었다. 이후 산짐승은 자라서 검은 기린이 되었고, 맹사성은 한양을 갈 때면 검은 기린을 타고 다녔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무장이 영조의 태실을 보호하는 충청북도 청주의 무성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에는 ‘무성리(武城里)’라는 마을이 있다. 3·1운동을 기점으로 전국적으로 독립운동이 확산할 때, ‘학도사’라 불리는 풍수가 명당자리를 살폈다. 그리고는 오래된 건물이 있는 자리에 부친의 무덤을 썼다. 그런데 학도사의 꿈에 한 무장(武將)이 나타나 호통을 치면서 형틀에 몸을 묶어 놓고 때렸다. 다음 날 아침에 그곳에 가보니 그 오래된 건물은 왕의 태실이었다. 마을 사람들은 이러한 이야기를 듣고, 무장이 태실을 보호하고 있다고 해서 ‘무성리’라 부르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용이 영웅의 정기를 빼앗아 올라간 충북 청주의 용박골
    충청북도 청주시 용암동에 ‘용박골’이라 부르는 마을이 있다. ‘용박’은 용바위를 의미하는 말이다. 마을에 ‘용바위’라 불리는 바위가 소재해 있어서 원래는 ‘용바위골’로 부르다가 ‘용박골’이 되었다. 옛날 영웅이 되기 위해 용박골에 한 무사가 찾아왔다. 그러나 용이 먼저 그 자리를 차지해 결국 무사는 영웅이 되지 못하고 어디론가 사라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북 >청주시

    스님들이 넘어 다니던 충북 청주의 구중고개
    충청북도 청주시 용암1동에 속해 있는 법정동인 용정동에 ‘구중고개’ 또는 ‘이정골고개’라고 부르는 고개가 있다. 옛날 청주시에 소재한 낙가산 보살사를 오르내리던 스님들이 넘어 다니던 고개였다. 그러나 한 스님과 젊은 처녀가 목을 매어 자살한 이후부터 주지 스님인 보현스님이 고개를 넘어 다니는 것을 금지했다. 그 후 스님들이 넘어 다니지 않게 되어 옛 구(舊)를 써서 ‘구중고개’라 불렀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