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어업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일반인도 쉽게 짜릿한 손맛을 느낄 수 있는 해루질
    해루질은 물이 빠진 바다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를 말한다. 최근 해루질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를 하고 있다. 바다를 무대로 생활하는 어민들과 단순히 해루질 체험활동을 즐기기 위한 체험객들의 주된 목적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어민들의 해루질은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 부분이 강하지만 체험객들에겐 하나의 유희에 불과하다. 다만 다양한 목적으로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어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들의 어족 자원을 외지에서 온 체험객들에 모두 가져갈 수 있다는 점에서 불만이 많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마포구

    컴컴한 뱃길을 안내하는 등대의 등대지기
    등대를 관리하는 등대지기의 정확한 명칭은 ‘항로표지관리원’이다. 이들은 현재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산직(표지운영직)으로 선발된다. 보통 등대에는 서너 명 정도의 등대지기가 있는데 이들이 번갈아 가며 휴가를 쓰기 때문에 두 명 정도가 실질적으로 등대를 관리한다. 이들이 해야 하는 일은 비단 등대만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생활하는 부분도 스스로 해야 하기 때문에 신경 써야 하는 것들이 적지 않다. 가족과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고 대소사를 챙길 수 없는 처지이긴 하지만 이들의 노고와 희생 덕분에 밤길을 오가는 수많은 어선들은 무사히 최종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마포구

    사람의 힘으로 그물을 오므려 잡는 후릿그물
    후릿그물은 지인망(地引網)에 속한 어구이다. 사전에는 지인망을 “경사가 완만하고 해저가 평탄한 연안에 쳐서 바로 해변으로 끌어당겨 고기를 잡는 그물”로 표기하고 있다. 후릿그물이 비단 육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오래전의 모습이 이런 식으로 조업이 이루어졌기에 이와 같은 개념이 정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 그물 어업의 역사는 아주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시대에 등장하는 ‘휘리(揮罹)’라는 도구가 후릿그물의 고어(古語)다. 조선시대의 어세를 기록해 놓은 여러 자료에 따르면 경상도를 비롯해 강원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이 그물을 이용하여 고기를 잡았음을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권진사가 본 무릉도원의 목멱어(木覓魚)
    권진사는 머리가 영특했지만, 문과에 뜻이 없고 유람하는 것을 즐겼다. 전국 팔도를 다 가본 권진사는 어느 날 춘천 기린창에 머물었고, 그곳에서 의문의 사내에게 동행 제의를 받게 된다. 첩첩산중에 위치한 마을은 평생 살면서 와본 적이 없는 곳이었다. 큰 마을에는 많은 젊은이가 살았는데 그들은 부지런했다. 그곳은 기름진 땅으로 드넓은 평야를 지녔는데, 권진사는 그곳을 무릉도원이라고 생각한다. 하루는 소년들과 물고기를 잡았는데 살면서 본 적 없는 목멱어가 잡혔다. 대략 한달 가량 마을에 머물면서 그는 선산을 구경하게 된다. 이 마을의 매력에 푹 빠진 권진사는 가족들과 다시 돌아오겠다고 하지만 끝내 돌아오지 못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마포구

    바다의 또 다른 신, 도깨비와 어업
    도깨비와 관련된 이야기나 신앙이 내륙에서도 확인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어업과 도깨비는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그 이유는 어촌 지역 어민들은 도깨비를 고기를 몰아주는 신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어촌 지역에 가면 이와 관련된 다양한 설화를 전해 들을 수 있는데 대표적인 부분이 바로 도깨비불이 모여 있는 곳에 그물을 놓으면 고기를 많이 잡는다는 이야기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옹진군

    바다의 험난한 환경을 보여주는 심청이와 인신공희
    심청전의 주요 모티브인 인신공희는 사람을 제물로 삼아 어떤 대상에 바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양상은 비교적 아주 오래전부터 행해졌을 가능성이 농후한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순장문화이다. 왕이나 최고의 통치자가 죽으면 그 옆에 살아 있는 사람을 함께 매장하는 풍습으로 그러한 흔적은 비교적 여러 사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어촌 지역의 인신공희는 비교적 여러 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백령도 지역에서는 숫총각을 바다에 빠뜨렸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바뀌게 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바다 위에 열리는 시장, 파시
    파시는 저장시설과 운반시설이 부족하던 시절에 바다 위에서 열리던 시장이다. 조선시대의 문헌 자료에 '파시'라는 용어가 기록된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전부터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파시는 대상 어종에 따라 구분이 가능한데 조기파시와 민어파시, 고등어파시 등이 그것이다. 파시가 열리는 지역에는 이 기간 동안 임시 촌락인 파시촌이 형성된다. 파시촌은 밤만 되면 불이 꺼지지 않았는데 어부들을 상대로 여러 상업시설이 불야성을 이뤘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등대
    등대는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들의 길라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는 문화자원이다. 서구에서 생겨난 등대는 여러 나라로 퍼져나가는데 우리나라는 1900년대 초반 최초로 등장했다. 등대는 최하단부의 등탑, 불을 밝히는 등롱, 그리고 등명기로 구분된다. 등대의 핵심 기능은 야간에 불빛을 비추는 것이다. 이 불빛을 보고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들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무사히 운항을 하게 된다. 최첨단 기술이 발달된 오늘날까지도 등대는 여전히 불을 밝혀 선박들의 항해를 돕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썰물에 돌을 쌓아 고기를 가둔 제주 하도리의 ‘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서는 바다에 돌담을 두른 원담에서 고기를 잡는다. 1980년대까지는 제주도 전역에 342개가 있었으나 개발로 인해 지금은 몇 개만이 남아 있다. 하도리 주민은 석방렴을 ‘개’라 부른다. 마을별로 개를 소유했으며, 인근에 멸치떼가 많아 이를 따라 들어오는 고기가 많았기에 개를 많이 쌓았다. 개는 썰물이 나가는 방향인 서쪽으로 담을 반원형 혹은 일자형으로 둘렀다. 썰물이 되어 물이 나가면 개 안에 든 고기를 뜰채와 같이 생긴 손그물로 떠낸다. 돌이 많은 제주도에서 자연물을 이용해 만든 자연친화적인 어구로, 공동체 운영원리가 담겨 있다. 개는 마을에서 공동으로 보수하지만 어물 어획은 개별적으로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