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조선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조선시대 회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단원풍속화첩」에 그려진 김홍도의 대장간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중 대표작인 「단원풍속화첩」은 산수 배경 없이 풍속 장면만을 화첩에 그린 것이다. 모두 25엽으로 구성된 이 화첩 안에 대장간 그림이 있다. 대장간 건물은 생략되고 쇳덩이를 가열하기 위한 단야로(鍛冶爐)를 중심으로 4명의 인물이 모루 위에 달구어진 쇳덩이를 집게로 잡은 채 두들기는 장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이다. 이 그림은 후에 김득신에 의해 모방되기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대장간 건물을 더하여 그려놓은 김득신의 대장간
    19세기 대장간의 풍경을 그린 풍속화로 지금까지 전하는 것은 김홍도와 김득신이 그린 2점 뿐이다. 김득신의 대장간은 김홍도의 그림을 모방한 작품인데, 작업하는 인물들 중 낫을 벼리는 인물이 줄었고, 단야로에 바람을 불어 넣기 위해 설치한 풍구의 위치가 바뀌었다. 또한 김홍도 그림에서는 생략했던 대장간 건물을 새롭게 더해 놓았다. 특히 집게를 잡고 있는 인물의 시선을 정면으로 바꾸어 놓아 그림을 보는 사람의 시선과 맞닿게 하였다. 단원 김홍도와 긍재 김득신의 두 작품 모두 풍속화 특유의 멋스러움과 서민적인 맛을 보여주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조선의용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영천시

    청춘을 바친 조선의용군 이원대
    이원대는 경상북도 영천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중국군에 배속되어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1933년 조선의열단(朝鮮義烈團) 국내 공작원 안병철(安炳喆)의 권유로 중국으로 망명하여 조선혁명군사정치학교를 거쳐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였다. 이원대는 이후 중국군 제9전구 사령부에 배속되어 무력 항일운동을 전개하였고, 1943년 산시성 부곡(山西省府谷)에서 조선의용군 중대장으로 부대원을 이끌고 일본군과 격전을 벌이다 체포되었다. 일본군에 체포된 이원대는 북경 일본군 석문헌병대(石文憲兵隊)로 압송되어 일본군의 악랄한 고문으로 1943년 6월 17일 32살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이원대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조선시대 기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속초시

    신흥사 대웅전 기단
    신흥사 대웅전 기단은 현재 보물 제1981호로 지정된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束草 新興寺 極樂寶殿)의 기단이다. 속초 신흥사는 외설악 동사면 기슭에 위치하는 사찰로 신라 진덕여왕 6년(652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향성사로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극락보전은 중수기(重修記)와 상량문이 남아 있어 1749년부터 1821년까지 네 차례 수리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품위가 느껴지는 공포 구성은 논산 쌍계사 대웅전, 대구 동화사 대웅전과 유사하다. 기단에는 모란, 사자 문양이 있고, 계단 난간에는 원을 3개로 나눈 삼태극과 귀면(鬼面), 용두 조각이 있다. 이처럼 사찰과 불법을 수호하는 귀면이나 궁궐과 종묘 등에 쓰이는 삼태극이 사찰 전각 계단에 장식 문양으로 사용된 예는 드물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상투가 풀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장신구, 동곳
    동곳은 남성의 상투가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정수리에 꽂는 장신구이다.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어왔으며, 시대에 따라 형태나 재료는 변화하였으나 머리를 단정히 하여 남성의 격식과 체면을 유지해주는 본질적인 기능에는 변함이 없었다. 동곳은 상투를 틀었던 조선시대 남성들의 필수품이자 장신구로 귀천고하(貴賤高下)를 막론한 모든 성인 남자들의 전유물이었고 지조와 절개를 담은 자존감의 상징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남자가 상을 치를 때 입는 상복 상의, 최의
    최의(衰衣)는 상중(喪中)에 있는 상제나 복인(服人)이 입는 남자 상복의 상의이다. 조선시대에는 『가례』를 기본으로 한 유교식 의례를 시행하여 유교식 삼년상과 함께 상의인 최의(衰衣)와 하복인 최상(衰裳)이 상복의 기본이 되었다. 최의에는 죽은 사람에 대한 슬픔을 상징하는 적(適), 최(衰), 부판(負板)가지, 총 세 가지의 상징물이 부착되어 상장례에 입는 의복 중 표현성이 가장 크다. 유교를 국가의 기본 통치 철학으로 삼았던 조선 사회에서는 상례 의식을 중요시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상복은 상례 행위가 갖는 의미를 가장 압축하여 표현한 복식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철릭과 한삼 사이에 입는 상의류이면서 배싸개, 과두
    과두(裹肚)는 조선 전기 남자의 상의류이자 조선 후기의 배싸개이다. 19세기 이후 20세기 초까지의 「궁중발기[件記]」에는 과두가 상의류의 하나로 기록되어 있지만, 조선 후기 예서(禮書)에는 배싸개 종류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과두는 철릭과 한삼 사이에 입는 옷으로 일반 저고리보다는 길고 포보다는 짧은 상의 종류였으며, 후기에는 배 또는 가슴 보호를 위해 남녀 모두 착용한 넓은 허리띠를 말한다. 상의류의 과두 재료는 모두 견으로 되어 있고, 겹옷·솜옷 등으로 만들었고 속에 털을 대어 사계절 모두 사용되었으며 배싸개는 주(紬)나 면포(綿布)로 만들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조선의 의기 월이 이야기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할머니가 들려주는 의기 월이 이야기

    출처 :한국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남 >고성군

    할머니가 들려주는 의기 월이 이야기
    임진왜란 중 고성군 회화면 앞바다 당항포에서 이순신 장군이 왜군과 격전 끝에 승리한 당항포대첩을 스토리텔링한 콘텐츠이다. 당항포대첩을 승리로 이끈 의기(義妓) 월이(月伊)의 이야기를 코로나를 피해 고성 할머니네로 내려온 손자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다. 밤마다 월이의 생장과 기생이 된 사연, 당항포대첩 때 월이가 한 일 등을 들려주고 다음 날 낮에는 그 현장을 찾아 답사하는 액자식 구성으로 흥미를 더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고조선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단군할아버지도 농사를 지었을까? 고조선 농업
    고조선은 BC 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한국 최초의 국가이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건국신화의 내용을 통해서 신시와 고조선사회가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 사회라는 점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서 고조선 시기에 농경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영월군

    허미수(許眉叟)의 지네 퇴치와 허적(許積)의 출생담
    강원도 영월 지역에서 조선 시대 후기의 학자인 허목(許穆)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허미수(허목) 설화들은 대부분 그의 이인적(異人的)인 풍모를 강조하는 것이 주류를 이룬다. 허적과 관련된 출생담도 그중 하나다. 허미수가 지네를 죽이고 난 후에 동생의 며느리가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들은 허미수가 죽인 지네가 환생한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동생의 며느리가 아들을 낳는 족족 없앴다. 하지만 셋째 아이를 낳자 허적의 아버지는 가문의 대가 끊어지게 되었다며 아이를 죽일 수 없다고 한다. 결국 허적으로 인해 동생의 집안은 삼족이 멸하는 화를 입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경상도 안동의 안기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안기도(安奇道)
    안기도는 조선시대 경상도 안동에 있던 안기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역로이며, 경상북도 북부 내륙에서 백두대간을 넘어 동해안으로 연결되던 역로를 관할했다. 조선시대 들어 여러 차례의 역로 재편을 거쳐 최종적으로 안기도가 획정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창락도를 통합하기도 했고 일부 역을 송라도에 이속시키기도 했다. 안기도 가운데 안동시에서 의성군, 군위군을 지나 영천시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국도와 함께 중앙선 철도가 통과한다. 안동에서 동해안의 영덕으로 이어지는 구간은 동해안에서 잡은 고등어가 안동으로 이동하던 안동 간고등어길이기도 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조선시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10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관악구

    1896년에 만들어진 민간 야담집, 동야휘집
    『동야휘집』은 1869년에 이원명이 민간에서 전하는 이야기와 문헌 자료를 수집하여 편찬한 한문 야담집이다.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에 관한 이야기 중에서 정식적으로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이야기를 꾸며 쓴 것이다. 『동야휘집』에는 남녀가 우여곡절 끝에 사랑을 이루는 이야기, 어려움에 놓인 사람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은혜를 갚는 이야기, 재물을 모아 부자가 되는 이야기 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의 사회적인 상황과 민간에 전해지는 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지도에 담은 조선의 인물과 역사,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조선팔도고금총람도』는 조선 후기 문신 김수홍이 1673년에 제작한 목판본 지도이다. 조선시대 전국의 지리 정보와 각지 주요 인물과 역사를 함께 기록하였다. 이 지도의 특징은 한성을 크게 강조한 것이다. 고지도 중에서 드물게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료적 가치가 크다. 역사적인 인물들은 김육이 편찬한 『해동명신록』을 참조하여 기록하였으며, 지도의 여백에 중국 『산해경』에 등장하는 지명을 적은 것이 특이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서울의 위도에 맞게 제작한 달력, 경진년대통력
    서울시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된 『경진년대통력』은 1579년에 간행되어 경진년인 1580년부터 사용된 역서이다. 역서는 오늘날 달력에 해당한다. 조선전기에는 명나라의 대통력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시각과 절기가 일치하지 않아 정확하지 않았다. 그래서 세종은 서울의 위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역서를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그중 가장 오래된 것이 『경진년대통력』이며 1580년 이전에 간행된 역서로는 유일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조선시대 계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 달성군

    용연사 석조계단
    보물 제539호 용연사 석조계단은 본래 동화사 말사인 용연사는 신라 하대 신덕왕 3년(914) 보양(寶壤)이 창건한 사찰로, 창건 이후 고려 시대까지 연혁은 알려지지 않았다. 용연사 석조계단은 불사를 봉안한 통도사 금강계단을 모방한 것으로 통도사에 있던 부처의 진신사리를 나누어 봉안하였다. 이곳에 통도사 사리를 봉안하게 된 것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부터다. 당시 승장 유정이 왜구를 피해 제자 청진(淸振)으로 하여금 통도사 사리를 용연사에 봉안하게 한 것이다. 용연사 경내에 세운 사바교주석가여래부도비명 기록을 통해 광해군 5년(1613)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754년 세워진 용연사사적비와 석가여래중수비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확인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