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줄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남 >창원시

    진동 큰 줄에 염원을 담아 당기던 창원 진동큰줄다리기
    진동큰줄다리기는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진동면 동촌 냇가에서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동서로 나뉘어 줄을 당기는 세시성 집단놀이 형태이다. 줄은 암수줄로 구분하는 쌍줄 형태이며, 승부에 따라 상여를 만들고 상복을 입으며 곡하는 모습이 특이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당진시

    '용이 하늘로 올라가 비를 내려준다'는 기지시 줄다리기
    줄다리기의 줄은 용을 상징한다. 줄을 당겨 용을 깨우면, 용이 하늘로 올라가 비를 내려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농업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지역에서는 대개 줄다리기를 한다. 이 중 충남 당진의 기지시 줄다리기는 상인들의 찬조로 자금을 마련하며,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줄을 만드는 곳과 줄을 당기는 장소가 무려 1km나 떨어져 있고, 배의 닻줄을 꼬던 줄틀이라는 도구를 사용한다는 점이 독특하다. 또 어느 쪽이 이기건 승패에 연연하지 않으며, 줄을 당기기 전에 유교ㆍ불교ㆍ도교를 아우르는 제사를 지낸다는 특징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과천시

    공중에서 벌어지는 곡예 줄타기
    줄타기는 광대가 공중에 맨 줄 위에서 재담, 발림을 섞어가며 갖가지 곡예를 부리는 놀이다. 줄타기는 4월 초파일, 단오, 추석 등 명절에 연희되었으며, 궁중의 행사, 권세 높은 집안의 잔치, 마을 축제, 장터 등에서도 공연되었다. 따라서 놀이판은 관아의 뜰이나 대감댁, 절마당, 장마당 등 넓은 마당이 있는 곳이면 가능했다. 일반적으로 훈련이 잘된 남자들이 타며, 청중 가운데 줄광대의 기량이 뛰어난 것에 감탄하여 돈 꾸러미나 비단을 내려주는 수도 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소중한 닭을 온갖 짐승들로부터 지킨 닭살이놀이
    닭살이놀이는 울타리 안의 닭을 살쾡이가 잡아먹으려고 공격하면 아이들이 울타리를 만들어 막아내는 놀이다. 닭은 중요한 식량자원이자 치료약이었다. 그래서 온갖 짐승들로부터 소중한 닭을 지키는 놀이가 만들어진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산시

    장터의 대표적 공연물 서커스
    1970년대까지 시골 장터의 대표적인 공연거리가 ‘서커스[circus, 曲藝]’였다. 장터에서 이루어진 전통적인 줄타기, 땅재주, 판소리 등도 일종의 서커스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서커스도 그 유래가 오래되었다. 삼국시대에도 서커스가 있었다.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서구문물이 들어오면서 서양서커스 공연도 함께 도입되었다. 1900년 초부터 일본의 곡예단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서커스 공연을 하였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유일한 서커스단이 동춘(東春)서커스단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 봉현생활사 자료관 소장품 (금줄)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공주시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 봉현생활사 자료관 소장품 (금줄)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에 수록된 소장품의 사진이다. 공주 생활사 온라인 박물관에서는 농기구, 악기, 가구, 혼례 및 장례 용구 등 1,800여 점의 다양한 공주 지역 전통 생활문화 소품 사진을 볼 수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아이를 낳고 일상생활로 돌아가기 위한 산후조리
    출산 후 산모가 건강하게 일상생활로 돌아가기까지의 과정을 산후조리라고 한다. 출산으로 이완된 몸을 회복하는 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금줄을 친 삼칠일간이 산후조리기간이었으나 남존여비 사상으로 인해 여자아이를 낳은 경우에는 더 빨리 일상생활에 복귀했고, 집안 형편에 따라서도 날짜가 다양했다. 보온이 중요해 여름에도 버선을 신고 긴팔옷을 입었으며, 먹는 음식도 가려서 먹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음식부터 행동까지 다양한 출산금기
    산모와 가족들이 아이가 태어나기를 기다리면서 나쁜 일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조심해야 하는 것들을 통털어 출산금기라고 한다. 유감 주술적인 민속으로, 먹어서는 안되는 음식, 해서는 안되는 행동들이 다양했다. 이는 태어날 아이에게 나쁜 기운이 들거나 아이가 잘못될까봐 염려하여 생긴 풍습이다. 출산금기는 아이를 가진 산모뿐만 아니라 집안의 가족들도 함께 지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무진정 연못에 쏟아지는 불꽃 퍼레이드, 함안 낙화놀이
    함안 낙화놀이란 무진정 앞 연못에 줄불을 달아 놓고 불꽃이 물 위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며 즐기는 불꽃놀이를 말한다. 나쁜 기운을 막고 복을 불러들이기 위해 벌인다. 함안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낙화놀이는 사월 초파일에 행해진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이 다 함께 준비하고, 초파일이 아닌 보름에 하는 지역도 있어서 불교 행사가 아닌 대동놀이로 봐야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북 >안동시

    조선 양반의 불꽃놀이, 하회 선유 줄불놀이
    하회 선유 줄불놀이는 경북 안동 하회마을에서 음력 7월 16일(기망)에 양반들이 즐기던 민속놀이이다. 공중에 매단 긴 줄에 숯가루를 넣은 봉지를 매달아 점화하면 불꽃이 튀면서 떨어지는 장관을 즐긴다. 뱃놀이인 선유와 함께 줄불, 낙화, 달걀불 등 다채로운 불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1933년경까지 전승되다가 중단되었고 현재는 복원되어 매년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기간에 벌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탯줄 자르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탯줄을 자르는 삼가르기
    태아가 산모의 뱃속에서 나오면서 탯줄을 자르는 행위를 의미한다. 산모와 아이가 처음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태어난 아이가 하나의 독립된 사람이 되는 의식이다. 과거에는 영아 사망률이 높아 삼가르기가 더욱 조심스럽고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 자른 탯줄은 아이의 생명력과 연결된다고 생각하여 처리하는 것도 굉장히 조심스럽게 여겼다. 왕실에서는 자른 태를 태항아리에 담아 좋은 기운이 있는 땅에 묻었다. 현재까지도 아이의 탯줄은 소중하게 다뤄져 탯줄을 넣은 도장이나 액자 등으로 보관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무등산 산줄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광주 >광산구

    전라도 광주의 경양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경양도(景陽道)
    경양도는 조선시대 전라도 광주에 있던 경양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역로이다. 고려시대의 승라주도와 남원도에 속했던 역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생겨났으며, 조선 후기로 들어와서 일부 역은 다른 역로에 이속되었다. 지금의 광주광역시와 이에 접한 전라남도의 담양군, 곡성군, 화성군 및 전라북도 순창군으로 이어지는 역로를 관할했다. 광주광역시 동쪽에 있는 무등산의 북쪽은 다소 평지로 이어지는 구간이었으며, 무등산의 남쪽에 자리한 화순군 방면으로는 산지를 통과하는 역로가 발달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줄꼬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인천 >미추홀구

    배에서 쓰는 줄을 꼴 때 부르는 인천의 주대소리
    인천광역시는 한국 역사에서 근대 문화가 가장 먼저 들어온 곳이다. 더불어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을 비롯해 외포리곶창굿 전수교육관, 은율탈춤보존회 전수회관 등 다양한 전수회관을 두어 예술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대소리」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로 배에서 쓰는 줄을 꼴 때 부르는 소리로 나무타령. 자우소리, 줄놓는소리, 꼼새소리, 술래소리, 여사소리, 채짓는 소리, 사리소리 등 줄 꼬는 과정에 따라 8가지 소리가 등장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