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태안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가을이 오기 전에 몸에 좋은 박속밀국낙지탕
    낙지에 대한 속담은 꽤 많은데 그 중 오뉴월 낙지는 개도 안 먹는다는 말이 있다. 초여름에는 어린 낙지를 키우느라 어미낙지의 살이 빠지기 때문이다. 어린 낙지는 어려서 살이 없고 성체(成體) 낙지는 살이 빠져 먹을 게 없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낙지의 맛을 제대로 보려면 무더위가 지난 9월은 되어야 한다. 여름을 지낸 어린 낙지들은 9월이 되면 제법 살이 오르고 크기도 크다. 이때의 낙지를 중낙지, 꽃낙지라고 하여 최고로 손꼽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홍성군

    홍성 옹암리 당산제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옹암리에서는 매년 음력 정초에 마을 제의인 당산제가 열린다. 옹암리 당산제는 마을의 발전과정과 크게 관련되어있다. 마을에 있는 포구의 쇠퇴와 폐쇄로 인해 제의의 목적과 규모가 변화했고, 당산제는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1980년대에 마을 노인회를 중심으로 다시 계승되기 시작했다. 제의 비용은 본래 마을주민과 선주로부터 후원을 받았다. 제의는 유교식이며 약 3일에 걸쳐 제사와 굿, 축원, 장승제, 거리제, 삼일 맞이를 진행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태안 신진도마을 당제
    충남 태안의 신진도에서는 매년 정월 열사흗날마다 안전, 풍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를 지낸다. 제사에서 섬기는 신은 마을 인근의 제당에 모셔진 다섯 신이다. 그중 주신으로 모시는 신만 ‘수당’이라 부르며 나머지 신의 이름은 밝혀진 바가 없다. 제관은 산제의 당주와 하당주, 서낭제를 담당하는 제관까지 총 3명을 선출한다. 제물은 쇠머리, 간, 천엽, 삼색 실, 백설기 등이다. 제사 비용은 주민들이 모아서 마련한다. 원래 물때에 맞추어 제의를 지냈으나 현재는 잘 지켜지지 않는다. 여성의 참여가 엄격히 제한된다는 점과 제물의 요리가 끝나는 대로 제단에 올리는 점이 신진도리 당제만의 특징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태안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모를 찌며 부르는 충남 태안의 술미소리
    충청남도 태안군에서는 「모찌는소리」로 술미소리를 불렀다. 「모찌는소리」는 모판에서 모를 뽑아 한 춤씩 묶으며 부르던 노래이다. 술미소리는 본디 「논매는소리」인데 유일하게 태안군에서만 「모찌는소리」로 쓰임이 바뀌어 불리고 있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야 술미야” “어하 술미야”라는 디딤가사를 붙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200년이 넘은 초가집, 태안 상옥리 가영현 가옥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상옥리에 백화산을 뒤로 하고 건립된 200년 된 초가집이다. 흙담에 우진각 형식으로 초가를 얹은 전형적인 민가로 집 앞에는 넓은 농지가 펼쳐져 있어 농가의 살림집 분위기가 나지만, 이 집은 농가가 아니라 청빈의 덕목을 구현하고 있는 선비의 집이다. 이 집 주인은 15대째 이곳에서 거주한 소주 가씨 집안이다. 넓은 대지에 200년 전 몸채를 지었고, 이후 1940년대까지 부속 건물을 덧대어지으며 ㅁ자로 완성된 초가집이다. 돌을 정교하게 쌓은 담, 담 사이에 불뚝 솟은 굴뚝, 그리고 초가지붕이 조화를 이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신지도와 마도를 둘러싼 태안의 대표 항구, 안흥항
    안흥항은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진도리에 속한 항구로, 조선시대 안흥성이 있던 곳이다. 신진도 내에 중국 성씨인 퉁씨가 많은 것으로 보아 중국과의 왕래가 잦았음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정죽리와 신진도 사이의 항구가 안흥내항이고, 마도와 신진도 사이의 항구가 안흥외항이다. 근대 이후 안흥항은 남도지역의 큰 배들이 드나들던 제1종 항구로, 남쪽에서 채취한 꼬막을 실은 배들이 유독 많이 드나들었다. 지금은 오징어, 삼치를 어획하는 큰 배들이 각지에서 모여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자망을 이용해 대하를 잡는 태안군 백사장항 주민들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에서 대하잡이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크기가 커서 대하라 부르는 갑각류는 안면도 인근 서해에서 9월부터 11월까지 잡는다. 창기리 백사장항에는 대하잡이 어선이 40~50척이 운영 중이다. 대하는 고급 어종으로 안면도는 충남의 대하 어획량의 80%를 차지하며, 그중에서도 창기리 백사장항은 전국에서 어획된 생대하 95%를 위판하는 대하산지이다. 자연산 대하를 생으로 즐길 수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새우 중 크기가 커서 대하라 불리며, 산란을 위해 연안과 바다를 오가며 생활한다. 대하철은 9월부터 11월까지로, 백사장항 인근의 9개 어촌계 어민들이 자망으로 대하를 잡는다. 어획 시기에 따라 대하 잡는 시기가 다르다. 노련한 어부만이 9월에는 조금 때에 자망을 드리우고, 11월에는 사리때에 그물을 내린다. 대하가 성장하면서 움직임이 달라지므로 어획 시기를 달리하는 전통 지식이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천연의 굴밭에서 지주식 굴양식을 하는 태안 의항리 사람들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에서는 굴을 양식한다. 굴은 김과 더불어 대표적인 양식어업이다. 굴은 대부분의 연안에서 서식했으나 충청도 천수만과 가로림만은 그중에서도 굴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천수만(淺水灣)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고, 수심이 얕고 펄과 모래가 섞인 혼합갯벌이 발달되어 있어 일찍이 굴생산을 집중했다. 천수만 외안에 위치한 의항리는 바닷물이 안쪽으로 깊숙이 내만되어 있고, 해안가에 바위와 돌이 많아 굴 서식의 최적지였다. 태안 기름유출 사고 이후 자연산 굴과 김 생산이 중단되었다. 기름유출 사고 이전까지 의항2리는 굴 양식으로 유명세가 높았다. 썰물과 밀물로 인해 지주식 양식장이 썰물기간동안 드러나 있어 굴이 자라지 못해 크기가 작다. 밀물이 되면 바다속 풍부한 영양분을 먹고 검은 빛깔을 띠며 자란다. 이 지역의 굴은 검은빛을 띤다고 하여 ‘검정굴’이라 부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태안 향토사 인터뷰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23건)
자세히보기
  •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허순자)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허순자)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최우평)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최우평)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최기면)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의 향토사료 인터뷰 (최기면)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태안 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어부들이 노 저으며 부르는 충남 태안의 어야디야소리
    충청남도 태안군에서는 「어부노젓는소리」로 어야디야소리를 불렀다. 「어부노젓는소리」는 고기를 잡으러 나갈 때 또는 고기를 잡아 돌아올 때 노를 저으며 부르는 노래이다. 작업 상황에 따라 가창방식이나 리듬을 달리해서 부르는 즉흥적 · 독창적 · 역동적 노래이다. 17종의 「어부노젓는소리」 중 가장 넓은 지역에서 불린 노래 중 하나인 어야디야소리는 주로 1마디 또는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야디야”, “에야디야”, “어야디야차”, “어기야디야” 등의 디딤가사를 붙여 호흡의 일치라는 실무적 기능을 담당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흥주사, 삼층석탑)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흥주사, 삼층석탑)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흥주사, 만세루)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흥주사, 만세루)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흥주사, 은행나무)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흥주사, 은행나무)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태안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달콤하고 꼬들꼬들한 맛, 참소라 숙회
    단골 횟집이 있다면, 한 두번 즈음 소라 숙회를 ‘서비스’로 맛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씹을수록 쫄깃쫄깃한 식감과 단맛이 풍부하게 느껴지는 소라, 초장에 찍어 먹으면 맛이 그만이다. 이 녀석은 어디에서 왔을까? 그 출생지를 찾아 충청남도 태안 앞바다로 떠난다면 어둑어둑한 밤바다에 맞닥뜨린다. 어둑한 바다에서 환한 불빛을 비추며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 이들은 소라의 맛을 사냥하는 사람들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