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공예품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짚풀공예품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홍성군

    플라스틱 도구의 출현으로 사라진, 댕댕이넝쿨로 만든 ‘댕댕이 공예품’
    충청남도 홍성시에는 댕댕이 넝쿨로 생활도구를 만드는 장인이 산다.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댕댕이장 기능보유자인 백길자 씨가 댕댕이 넝쿨로 여러 작품을 만들고 있다. 댕댕이넝쿨 줄기는 내구성이 좋고 물에 젖으면 탄력성이 좋아 잘 구부러지므로 도구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짚으로 만든 것보다 통풍이 잘 되고, 촘촘해 작은 물건을 보관하기에도 적합하다. 댕댕이 넝쿨 공예품은 조선시대부터 농촌 어느 마을에나 있던 생활도구이지만 지금은 홍성과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중구

    향로에 담긴 조선시대 경제 이야기, 부석사명 은입사 철제 향로
    부처님께 음식과 물건을 올리고 의식을 행하는 공양을 할 때 사용하는 물품을 공양구라고 한다. 이 중 향로는 공양구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우리나라에서 향로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나 그 예시가 많이 남아있지 않다. 고려시대의 향로는 주로 청동 또는 청자로 제작되었고, 조선시대의 향로는 유기와 백제로 제작되었으며 간혹 철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사찰에서 사용하는 향로는 청동, 유기와 같은 금속제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동전 주조 정책과 더불어 구리 확보가 힘들어지자 철제 향로가 제작되기 시작했다. 부석사명 은입사 향로는 향로의 구연부부터 받침대에 이르기까지 당초문과 연화문이 은입사 기법으로 새겨져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용산구

    정조(正祖)의 시가 새겨진 철제 은상감 자
    조선시대의 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이름과 크기가 달랐다. 제사와 관련된 물건을 만들 때 사용한 조례기척(造禮器尺), 악기를 제작할 때 사용한 황종척(黃鐘尺), 건축에 이용한 영조척(營造尺), 옷감의 길이를 재는 포백척(布帛尺) 등이 있다. 이러한 자는 표준 길이로써 역할을 했기 때문에 여러 번 사용해도 모양이 변하지 않아야 했다. 따라서 주로 쇠나 놋쇠로 만들어졌으며 가볍게 사용하기 위해 대나무로 제작되기도 하였다. 정조 재위 20년이었던 1796년 음력 2월 1일, 정조는 농사철의 시작을 기념하는 중화절(中和節)을 연회를 열고 신하들에게 중화척(中和尺)을 하사했다.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지만 철제 은상감 자 또한 중화척으로 하사되었다. 특히 철제 은상감 자에는 정조가 직접 지은 시도 새겨져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부산 >남구

    파격미 넘치는 용문양이 그려진 백자철화용문호
    부산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17세기 백자철화용문호는 2012년 5월 17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2호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38.4㎝로 몸체의 윤곽선이 풍만하면서도 원형에 가까운 이른바 '달 항아리'의 모습이다. 대형 항아리는 몸통의 상부와 하부를 따로 만들어 접합하였는데, 이 항아리 역시 커다란 발(鉢) 두 개를 구연끼리 맞붙이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동체 중앙부에 깎아 다듬은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문양은 항아리를 휘감은 용과 풀처럼 보이는 구름이며, 얼굴이 해체된 듯한 용의 모습은 파격미가 돋보이는 지방 가마의 작품임을 추정하게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공예품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72건)
  • 지역문화 Pick (1036건)
자세히보기

#고려시대 공예품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강진군

    고려청자의 고장 강진에서 만나는 '고려청자박물관'
    청자는 신비로운 색, 아름다운 선과 형태, 다양한 장식, 높은 기술력으로 만들어낸 우리 문화의 최고 자랑 중 하나다. 청자는 중국에서 들여왔지만 중국에서도 고려청자를 최고로 여겼다. 중국 남송(南宋) 태평노인(太平老人)이 쓴 《수중금》에서 고려청자에 대해 ‘고려비색(高麗秘色) 천하제일(天下第一)’이라고 쓰고 있다. 강진은 청자요지와 고려청자에 대한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해 1997년에 고려청자박물관의 문을 열었다. 고려청자박물관은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를 볼 수 있으며, 직접 손으로 그릇을 빚는 체험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목가구 완성의 화룡점정, 장석의 형태와 문양
    목가구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고, 문이나 설합 등 여닫는 부분이나 손잡이가 제 기능을 하도록 하며, 잠그는 기능을 하는 경첩, 감잡이, 광두정, 귀장석, 자물쇠, 들쇠 등의 금속 장식을 통틀어 장석이라고 한다. 장석은 기능뿐 아니라 목가구의 품격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장석은 금·은·동·철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광택이 은은하면서 화려한 백동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에 수복강녕의 의미를 담은 각종 동식물, 사물, 문자 등의 형태와 문양으로 가구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것이 장석이다. 소박한 목조가구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자개와 장석으로 장식되면서 고가의 혼수품이나 뇌물로 사용할 정도로 사치스러워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권위와 벽사와 구복, 전통 열쇠와 자물쇠의 상징
    인류는 기원전 2,000년 무렵부터 열쇠와 자물쇠를 만들어 사용했다. 발견된 유물로 추정할 수 있는 한, 우리나라에서 열쇠와 자물쇠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다.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로 오면 열쇠와 자물쇠는 더욱 화려해진다. 이 시기 열쇠와 자물쇠는 권력의 상징이었다. 불교에서 자물쇠는 단순히 잠금장치인 것만이 아니라 벽사(辟邪)의 의미도 있었다. 조선 시대 이후 전통 자물통은 물고기, 거북 등의 형상 및 각종 문자와 문양에 다산과 장수, 부귀에 대한 염원을 담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황금으로 만들어진 금속 공예의 정수, 금관(金冠)
    금관(金冠)은 삼국에서 모두 사용한 관모의 일종이며, 왕과 왕비를 비롯한 상류층에서 예관(禮冠)으로 머리에 썼던 관모이다. 금관은 형태와 색상의 조화에서 최고의 미를 표현하였고, 정적인 미와 동적인 미를 나타내는 최고의 작품이다. 이러한 금관은 삼국시대 왕실과 귀족사회의 절대적인 권력을 상징한다. 또한 금관은 삼국시대 복식의 특징으로 금속 공예의 정수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삼국에 찬란한 문화가 꽃피워졌음을 알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도자공예품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8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트임기법 도자기의 대가 양승호
    트임기법은 기물 표면에 균열을 만드는 도자 장식기법이다. 이 기법은 점토의 특성, 성형 수단, 그리고 첨가제 등 여러 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문양과 장식을 연출한다. 양승호는 트임기법의 대표 작가다. 그는 도자기란 매끈한 것이라는 관념을 깨는 일련의 작품을 전시하여 전통적인 도자의 세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그의 작품은 영국, 독일, 프랑스, 스위스의 박물관 10여 곳에 소장돼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문경시

    도천 천한봉과 조선 분청사기의 부흥
    도천(陶泉) 천한봉 (千漢鳳, 1933~2021년)은 고려와 조선 도자의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조선 도공의 도예 기법을 계승하며 일평생 도예의 길을 걸었다. 잊혀진 분청사기를 국내에서 재현하여 일본에서 먼저 명성을 떨친 그는 전통 차 도구 제작에 전념, 국내 전통 차 문화 부흥에 일조했다. 복원한 분청기법으로 수많은 명품을 제작하는 그에게서 조선의 찻사발은 부활했고 분청사기는 맥을 이어가게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문경시

    잃어버린 조선의 막사발, 이도다완을 재현한 김정옥 사기장
    조선의 막사발은 값싸고 편한 서민용 그릇으로 형태도 불완전하며 매끈하지도 않다. 하지만 ‘와비사비’(侘び寂び) 정신을 추구하는 일본의 다인(茶人)들은 이러한 형태에 매료되어 최고의 찻사발로 대접했다. 일본인들은 조선의 막사발에 ‘이도다완’(井戶茶碗)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국보로 추앙하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는 맥이 끊겼다. 김정옥 명장은 1991년 국내에서 처음 이도다완, 아니 조선의 막사발을 재현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