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사찰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남 >창원시

    무염국사가 발견한 창원 우곡사 약수
    우곡사는 해발 566.3m의 정병산 기슭인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단계리에 있다. 우곡사 약수는 신라 흥덕왕 7년인 837년에 무염국사가 우곡사를 창건할 때 발견한 것이다. 우곡사 약수는 피부병에 효험이 있으며 어떠한 장마나 가뭄에도 수량이 일정하다는 특징이 있다. 우곡사 약수의 효능이 널리 알려져서 창원시 주민은 물론 부산시나 양산시 주민들도 많이 찾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사찰의 누정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양양군

    바다 끝 벼랑에 우뚝 선, 양양 낙산사 의상대
    관동팔경의 하나인 낙산사. 관동팔경은 북쪽으로부터 총석정·삼일포·청간정·낙산사·경포대·죽서루·망양정·월송정을 일컫는다. 이러한 관동팔경은 조선 중기 신집의 『하음집』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런데 낙산사를 제외하고 모두 경관 좋은 누정과 호수다. 낙산사는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가 지은 유서 깊은 절이다. 일연의 『삼국유사』를 보면 의상은 바닷가 동굴에 관음보살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곳에 와서 7일을 기도한 후 관음보살을 만난다. 그리고 관음보살이 이야기 한 자리에 절을 짓고 이름을 낙산사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후대에 이야기가 더해졌다. 의상대사가 수도한 절벽 위 누정을 의상대라 하고 관음보살이 바다에서 연꽃을 타고 솟아오른 자리 곁에 절을 지어 홍련암이라 했다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논산시

    고려의 호국불이었던 관촉사의 은진미륵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는 관촉사가 있다. 관촉사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조 불상으로 알려진 은진미륵이 있다. 은진미륵은 고려 광종 19년에 혜명대사가 조성했다고 한다. 혜명대사가 땅속에서 솟은 바위로 불상을 만들라는 명을 받고, 36년이 걸려 불상을 완성하였다. 그런데 불상이 너무 커서 세우지 못하고 있었다. 어느 날 혜명대사가 강변에서 두 동자가 탑을 쌓으며 노는 것을 보고 불상을 세울 수 있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청도군

    용이 되지 못한 꽝철이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는 대비사가 있다. 대비사에는 용이 되지 못한 꽝철이에 관한 이야기가 전한다. 대비사의 상좌는 용이 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하지만, 주지 스님의 방해로 하늘로 승천하지 못하고 꽝철이가 된다. 이에 분노한 꽝철이는 불을 내뿜으려 가뭄을 일으켜 사람들을 괴롭혔다고 한다. 그래서 청도지역에서는 심한 가뭄이 들면 ‘꽝철이 쫓기’ 기우제를 지냈고, 비가 내리기를 기원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예산군

    화가 이응로의 삶이 담긴 예산 이응로 선생 사적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에는 우리나라 유일의 초가집 여관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여관의 이름은 ‘수덕여관’으로 화가 이응로(1904~1989)가 머무르며 작품 활동을 했던 공간으로 유명하다. 이응로는 1944년 수덕여관을 구입해 약 15년간 그림을 그리는 장소로 활용하였다. 동백림 사건 이후 1969년 수덕여관에서 요양을 하면서 화강암 바위에 암각화를 남기기도 하였다. 이응로와 고승들의 작품을 비롯한 근현대 예술인의 다양한 작품들은 수덕여관 근처에 세워진 선미술관에서 관람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양산시

    통도사성보박물관, 아름다운 깨달음의 공간
    통도사성보박물관은 천년 사찰 중 하나인 통도사에 건립된 불교미술 전문 박물관이다. ‘성보박물관’이란 사찰에서 운영하는 박물관을 말하는데, 통도사성보박물관은 1987년에 문을 연 국내 최초의 사찰 박물관이다. 약 3만 점의 불교문화 유산을 소장하고 있는데, 이 중 국보와 보물이 27건, 경상도 지정 문화재가 62건에 이른다. 1층의 통도사역사전시실에서는 통도사의 오랜 역사를 조각과 공예품, 서적 등을 통해 한눈에 이해할 수 있고, 2층으로 올라가면 장엄한 불교회화의 세계와 만나게 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논산시

    직경 3m에 가까운 대형 솥, 논산 개태사 철확
    솥은 취사 용구로 밥을 짓거나 국을 끓이는 데 사용되는데 주로 무쇠(주철)로 만들었다. 종류로는 다리가 없는 부(釜)와 다리가 있는 정(鼎), 그리고 자유로이 옮겨 걸고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노구솥이 있다. 개태사 철확은 직경 289㎝, 높이 96㎝, 둘레 910㎝ 크기의 대형 솥으로 충청남도 민속자료 1호로 지정되어 있다. 개태사는 고려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태조 왕건이 창건한 사찰로, 이 솥은 정해년 대홍수로 떠내려간 것을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 박람회에 출품하였고 그 이후 돌아와 개태사 정원에 놓이게 되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양양군

    의상과 원효의 낙산사
    강원도 양양군에 낙산사(洛山寺)가 있다. 낙산사는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두 고승인 의상(義湘)과 원효(元曉)가 관음보살의 진신을 만나기 위해 찾았다는 사찰이다. 그런데 재계를 한 의상은 관음보살의 진신을 만나고 낙산사를 창건하였지만, 원효는 낙산사를 향하는 길에 만났던 여인이 관음보살의 진신임을 알아보지 못하고, 관음보살의 진신이 머물러 있다는 동굴에 들어가지도 못한 채 낙산사를 떠났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원주시

    아홉 마리 용과 내기에서 이겨 창건한 구룡사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에서 치악산(雉嶽山)으로 오르는 입구에 구룡사(九龍寺)가 있다. 구룡사는 신라시대의 고승인 의상(義湘)이 668년에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의상이 구룡사를 창건하기 위해 이곳저곳을 살펴보다가, 연못을 메우고 대웅전을 짓기로 하였다. 그 때 연못 안에 있던 아홉 마리의 용들이 의상에게 항의를 하였다. 결국 내기를 해서 이기는 쪽의 뜻을 따르기로 하였는데, 의상이 이겨 구룡사를 지을 수 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원주시

    은혜 갚은 꿩이 울린 상원사 동종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치악산(雉岳山)은 원래 적악산(赤岳山)이라 불렀다. 치악산이라 부르게 된 유래와 관련해서 ‘은혜 갚은 꿩’이야기가 전해진다. 서울로 과거를 보러 가던 나그네가 구렁이에게 잡아먹히려는 꿩을 구해준다. 그 날 밤, 낮에 활을 쏴 죽인 구렁이 부인이 나그네에게 원한을 갚으려 한다. 다만, 절의 종이 세 번 울리면 나그네를 살려주겠다는 것이다. 아무도 살지 않는 절의 종이 울릴 리가 없는데, 종이 세 번 울려 나그네는 목숨을 구한다. 나그네가 절에 가보니 종 아래에 머리가 깨져 죽은 꿩이 있었다. 그 이후로 꿩 치(雉)자를 써서 치악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