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최근 열람한 지역문화콘텐츠 목록 제공

최근열람자료

19817
  • 경복궁 별빛야행

    출처:한국관광공사

    지역문화정보

    경복궁 별빛야행
    • 주소 : [03045]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 전화 : 1522-2295
    • 출처 : 한국관광공사
  • 테마스토리

    돌아라, 돌아라, 더 빨리! 팽이치기
    팽이치기는 바닥을 뾰족하게 깎아 만든 팽이를 회전시키면서 다양한 기술을 겨루는 놀이다. 겨울철 남자아이들이 주로 즐겼다. 팽이가 쓰러지지 않고 계속 돌아가는 것은 팽이의 회전 관성이 균형을 맞춰주기 때문이다. 또 팽이의 마찰력이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가급적 바닥과 닿는 면을 작게(=뾰족하게) 만들어야 오랫동안 돌릴 수 있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역놀이
    • 이야기 주제 : 전국단위 민속놀이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민속
    • 관련문화원 : 한국문화원연합회
  • 테마스토리 경북 >경주시

    '백리 안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경주 최부자댁
    경주 최부자댁은 경북 경주시 교촌에 위치한 가옥이다. 교촌은 신라시대 요석궁 터로 요석공주가 살았다고 한다. 최부자집은 최진사집으로도 불리웠는데 이는 가문에 전해지는 육훈(六訓)에 따라 진사(進士) 이상의 벼슬은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970년대의 화재로 현재는 안채와 천석곳간만 남아 있다.
    • 테마 : 생활문화 > 한국의 가옥
    • 이야기 주제 : 경상도의 가옥 > 반가(양반집)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경북경주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남 >순천시

    충의공 장윤을 기리는 정충사
    정충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충의공 장윤을 배향한 사당이다. 장윤의병장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들의 창의를 지원하며 전라좌의병의 부장을 맡았다. 그는 전라우의병을 이끌고 금산‧무주‧성주‧개령 등지를 돌아다니며 왜적들과 싸워 큰 공을 세웠고, 1593년 2차 진주성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조총에 맞아 순절하였다.
    • 테마 : 국난극복 > 의병
    • 이야기 주제 : 의병사적지 및 기념시설물 > 의병기념시설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지방의 역사 > 조선
    • 관련문화원 : 전남순천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건어물상 명도석, 독립운동가가 되다
    명도석은 마산 어시장에서 어렸을 때부터 장사를 시작해 건어물 거상이 된다. 그는 마산 지역사회에서 옥기환을 비롯한 마을 유지들과 함께 교육운동, 군자금 모금, 민족자본 육성 등과 같은 애국계몽운동을 펼친다. 일제말 그는 일제가 패망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건국동맹에서 해방된 조국을 맞이할 준비한다. 또한 일제의 탄압에도 창씨개명을 하지않고 민족성을 지킨다.
    • 테마 : 생활문화 > 지역인물
    • 이야기 주제 : 경상도를 빛낸 사람들 > 의병·독립운동가, 나라를 지키다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성씨와 인물 > 인물
    • 관련문화원 : 경남마산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북 >안동시

    유성룡의 종가, 안동하회마을 충효당
    충효당(忠孝堂)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종가길 69(하회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형 정자이다. 보물 제414호로 지정되어 있다. 충효당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1542∼1607)의 종택이다. 유성룡은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낙향하여 농환재(弄丸齋)라 불리는 풍산 서미동(西美洞)의 초가삼간에서 별세하였다. 이에 유성룡의 손자인 졸재(拙齋) 유원지(柳元之:1598~1674)가 유성룡의 학덕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유림과 제자들의 지원을 받아 먼저 사랑채와 안채를 건립하였고, 증손자인 눌재(訥齋) 유의하(柳宜河:1616∼1698)가 확장 수리하여 오늘에 이른다. 행랑채는 8대손 일우(逸遇) 유상조(柳相祚:1763∼1838)가 병조판서에 제수된 뒤 군사들을 맞이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당호를 충효당이라 한 것은 유성룡이 평소에 자손들에게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라고 강조한 뜻을 받들어 지은 것이다.
    • 테마 : 역사문화유산 > 누정
    • 이야기 주제 : 사대부의 누정 > 가옥의 누정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문화유산 > 건축유적
    • 관련문화원 : 경북안동문화원
  • 포스트 큐레이션

    부패정치와 외세에 맞서다
    조선을 뒤흔들었던 사건 중 하나인 동학농민혁명, 포악한 관리와 외세의 수탈에 맞서 봉기한 농민들의 함성은 한반도를 흔들어 놓았습니다. 포악한 관리와 외세의 극악무도한 횡포에 녹두장군 전봉준은 동학 조직을 이용해 부대를 편성하였고 봉기를 촉구하였으며 그 결과 농민군들은 파죽지세로 전라도 일대를 누비며 북상하였습니다. 그 기세는 진압군들조차 겪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였고 이에 조선 정부는 농민군의 요구를 들어주겠다 약속하였고 농민군은 해산하게 되었습니다.

    허나 그 약속은 일본군에 의해 짓밟히게 되었고 또다시 농민들은 들끓는 마음으로 봉기를 일으켰습니다. 그들은 치열한 접전을 펼쳤으나 신식 무기 앞에 결국 패하고 말았습니다. 패하였지만 중요한 것은 그들의 꺾이지 않은 마음이었으며 새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불합리함에 맞서 싸우는 용기, 그 용기와 희망이 조선의 개혁과 의병 전쟁에 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의로운 깃발을 들고 여기에 이른 것은 안으로는 못된 관리의 머리를 베고, 밖으로는 횡포한 외적을 내쫓고자 함이라."

    우리 모두 그 용기를 이어받아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성공으로 가는 과정과 마음만을 생각하며 희망찬 앞날을 꿈꿔봅시다!
  • 테마스토리 경기 >여주시

    유서 깊은 호국의 유적, 여주 파사성
    남한강과 파사산 정상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쌓은 산성으로 둘레는 약 1800m이다. 신라 파사왕(재위 80∼112) 때 만든 것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와 정유왜란 때에 그 가치가 높이 인정되었고, 승장 의엄이 고쳐 쌓은 유서 깊은 호국의 유적이다. 남한강이 북으로 흘러 양평을 거처 서울로 통한다. 또 이 강의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면 여주, 충주 탄금대를 처쳐 영남과의 중요한 길목인 죽령과 조령으로 연결되는 교통상의 요로다.
    • 테마 : 역사문화유산 > 성과옛도로
    • 이야기 주제 : 성과 성곽 > 산성의 나라 각 지방의 성곽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자연과 지리 > 향토지
    • 관련문화원 : 경기여주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남 >곡성군

    과식하게 되는 추석,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토란국
    추석상에 토란국은 쇠고기 양지머리 육수에 토란(土卵)을 넣고 끓인 국으로 토란탕, 또는 토란곰국이라고도 한다. 토란국은 조선시대 가사인 농가월령가에도 추석음식으로 등장한다. 토란은 위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예방에 효과가 있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토란으로 만든 토란국은 다양하고 기름진 음식들이 가득한 추석에 꼭 맞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 테마 : 생활문화 > 향토음식
    • 이야기 주제 : 특별한 날에 먹는 전통음식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전남곡성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근대 볍쌀의 껍질 벗기기
    한국은 전근대 시기 주로 절구나 디딜방아나 물레방아로 벼의 껍질을 도정하여 먹었다. 이런 방식은 쌀의 손실률이 높았다. 일본인은 메이지 유신 직후부터 10분도로 도정한 백미를 먹었기에 한국에서 쌀을 수입하면서 개항장에 정미소를 설치하고 한국의 쌀을 다시 백미로 도정해 갔다. 일본이 한국을 지배하면서 군산항 등 일본으로 연결되는 항구에는 정미소가 생겨 한국쌀을 도정하였다. 한국인은 정미소에서 메갈이꾼(현미 운반)과 미선공(쌀가려내기)으로 일하였다.
    • 테마 : 역사문화유산 > 근대문화유산
    • 이야기 주제 : 근대 신문으로 보는 음식 > 개항 이후 들어온 음식과 식재료
    • 자료유형 : 원고 > 이야기 콘텐츠
    • 주제분야 : 생활과 민속 > 생활
    • 관련문화원 : 전북군산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