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향토음식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울산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울산 >남구

    먹어는 봤나요? 호른호른, 야들야들, 쫄깃한 고래고기
    장생포 ‘고래 문화마을’은 포경산업이 성황을 이루었던 60~70년대의 마을 모습을 재현했다. 당시 장생포 항구는 우리나라 최대 포경항이었다. 1899년 러시아 태평양 포경회사가 고래를 해체하는 장소로 선정한 이래 한국의 대표 포경기지였던 셈이다. 이 당시에는 해체한 고래를 주로 일본으로 수출했다. 그렇지 못한 부위는 장생포 사람들이 먹었다. 소금을 넣고 삶아서 수육으로 먹거나 이것저것 부위별로 섞어 탕도 끓여 먹었다. 그때만 해도 고래고기는 돼지나 소가 없었던 바닷사람들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동해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여름바다의 인절미, 쥐노래미(돌삼치)
    도심 속의 무더위를 피해 강원도 동해안으로 피서를 떠나면, 길을 따라 유명한 항구와 수산시장 앞에 사람들이 바글바글 몰려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곳저곳 좌판을 펴고 살아있는 생선 파는 것을 구경하다 보면 상추와 깻잎쌈에 회 한 점 올려 쌈을 싸 먹고 싶은 마음에 침을 흘리곤 한다. 이럴 때면 쥐노래미를 찾아 눈에 불을 켜보길 바란다. 작은 어종이라 쉽게 지나치고는 하지만, 제철이 여름이고 수분기가 많아 상추쌈, 혹은 회덮밥으로 먹어도 아주 그만인 어종이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다금바리와 맞먹는 귀한 생선, 줄가자미
    흔히 시장에서 만나는 가자미는 생선조림이나 생선구이의 대상이다. 납작하게 생기고 잔가시도 별로 없는 가자미만큼 먹기 편한 생선도 드물기 때문이다. 가자미 요리는 친근한 서민 음식이다. 그런데 가자미 중에서도 최고급을 찾으면 제주도의 다금바리와 맞먹는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그 비싼 횟감이 바로 줄가자미다. 양식도 되지 않고 잘 잡히지도 않아 아주 귀한 대접을 받는 가자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동해시

    바다의 푸아그라, 아귀 간 요리
    푸아그라(Foie gras)라하면 프랑스의 대표요리이자 한국에서 트러플(송로버섯), 캐비아(철갑상어알)과 함께 세계 3대 진미로 꼽히는 요리이면서, 동시에 동물복지를 외치는 서방세계의 아킬레스건이기도 한 음식이다. 억지로 사료를 먹여 살찌운 거위의 간인 푸아그라의 의미는 지방간(Fatty liver)이다. 푸아그라가 주는 고소하고 녹진한 맛에 하나도 뒤처지지 않는 바다의 푸아그라가 한국에 있다. 바로 아귀 간 요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양양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양양군

    서핑하다 해장국이 필요할 땐 양양 째복
    짬뽕, 바지락 칼국수, 홍합탕에는 조개가 빠지지 않는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데에도 한 수저 떠서 호로록 마시면 저절로 시원하다는 감탄사가 나오는 마법의 국물. 입맛이 없을 때나 술을 왕창 먹은 이튿날 해장에 최고의 맛이다. 강원도 양양의 해변에 널려있는 조개들의 이름은 민들조개다. 현지인들은 민들조개를 짜북, 짜복, 째복 등으로 부르며 째복국, 째복탕 등으로 끓여내 먹는다. 해장에 무척 좋은 음식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양양군

    몸통이 크고 구하기 힘든 무늬오징어(흰오징어) 통찜
    요즈음에는 외모가 떨어지는 사람을 두고 ‘오징어같이 생겼다’는 말을 장난삼아서 하고는 한다. 잘생기고 시원한 외모의 연예인 옆에 섰더니 자신이 오징어같이 보였다는 등 ‘오징어’라는 표현은 긍정보다는 부정에 가깝다. 그런데 실제로 우리 식생활에서 오징어는 아주 인기가 좋은 수산물이다. 순대, 볶음, 튀김, 술안주에까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특히 살아있는 오징어라면 없어서 못 판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인기가 좋다. 그중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녀석이 오징어의 황제로 통하는 무늬오징어다. 가을과 봄철, 미식가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무늬오징어를 강원도 양양에서 찾아보자.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다양한 매력을 지닌 군산의 박대
    박대는 가자미목의 참서대과에 속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의 서쪽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적인 모습이 납작한 형태를 띠고 있는 박대는 갯벌을 비롯해 모래 등에서 사는데, 보기와 달리 조개나 게와 같은 것을 잡아먹으며 생활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남해안 서쪽 지역에서도 잡히긴 하나 박대하면 떠오르는 지역은 군산이다. 그리고 군산 바로 옆에 위치한 충청남도 서천 지역에서도 박대가 많이 잡히긴 하나 아무래도 수산물이 많이 유통되다보니 군산이 박대의 고장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군산의 박대가 유명해진 이유는 아무래도 이 지역 출신 연기자인 김수미 씨의 영향이 크다. 김수미 씨가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여러 가지 요리를 하여 서로 나눠먹는 프로그램에서 박대가 대대적으로 홍보가 되면서 더욱 그러한 분위기가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역사와 다양한 식재료가 함께하는 군산 짬뽕
    전라도 군산은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한 도시이다. 아귀찜, 꽃게장을 비롯한 다양한 해산물 요리부터 단팥빵, 야채빵 등 디저트까지 식도락 여행으로 안성맞춤인 이 도시에 또 다른 대표 음식이 있는데 바로 짬뽕이다. 167개나 되는 짬뽕집의 수와 다양한 종류의 짬뽕을 고려한다면 군산의 대표 음식을 짬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일제 강점기 대표 항구도시였던 군산에 이주해 온 화교들이 전파한 식문화는 어떻게 군산의 대표 지역 음식으로 재탄생하게 되었을까.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군산시

    20년간 군산의 입맛을 사로잡은 녹두삼계탕, 군산 운정식당
    전라북도 군산시 개복동의 운정식당은 1979년 정옥순 씨가 개업한 이래 42년간 지켜온 오래된 식당이다. 가게를 처음 열었을 때는 일식집으로 시작한 운정식당은 예상 밖으로 장사가 잘되지 않자 설렁탕과 우족탕을 전문으로 하는 한식당으로 전환하였다. 예전에는 운정식당이 자리한 중앙로 일대가 관공서와 금융기관 등이 모여 있고 극장가와 음식점이 번성하였던 군산시의 번화가이자 상권의 중심지였다. 그 덕에 20여 년 가까이 장사가 잘되었으나 IMF 사태와 군산 신도심의 개발로 인해 제2의 위기를 맞았다. 정옥순 씨는 단골손님을 배려하여 사양길에 접어든 구도심의 현 위치를 고수하는 대신 군산시 최초로 녹두삼계탕을 개발하고 소개함으로써 재도약과 중흥의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현재에 이르렀다. 2015년경부터는 아들 양정일 씨가 식당 일을 본격적으로 돕기 시작하면서 운정식당은 2대를 계승하는 가업의 꿈을 일궈 나가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태안반도의 숨겨진 매력 태안군 꽃게
    충청남도에 속한 태안군을 대표하는 특산물은 꽃게이다. 꽃게는 다른 지역에서도 많이 잡히긴 하나 가장 핵심이 되는 곳은 단연 태안군이다. 태안군에서도 특히 가의도와 신진도 주변에서 꽃게를 많이 잡는데 한 때는 꽃게를 잡아 돈을 쓸어 담았다는 이야기가 지역에 전해온다. 태안 지역에서는 잡히는 꽃게를 가지고 다양한 요리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꽃게탕이 인기가 좋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오랜 역사를 품고 있는 태안군의 자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소금은 제작 방식에 따라 천일염, 자염, 자연염, 죽염 등으로 구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소금 가운데 태안군을 대표하는 것이 바로 자염이다. 자염은 한자로 ‘煮鹽’으로 표기하는데 여기에서의 ‘자(煮)’자는 끓이거나 삶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런 점에서 자염은 햇볕을 이용해 증발하여 소금을 얻는 천일염과 달리 화력으로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얻어내는 방식이다. 태안군에서는 아주 오래전부터 자염을 생산해왔으나 천일염이 등장하면서 서서히 그 명성을 잃어가고 있었다. 그러던 찰나에 태안문화원을 중심으로 발굴과 고증을 거쳐 자염을 생산하게 되어 지금까지 전승을 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태안군

    달콤하고 꼬들꼬들한 맛, 참소라 숙회
    단골 횟집이 있다면, 한 두번 즈음 소라 숙회를 ‘서비스’로 맛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씹을수록 쫄깃쫄깃한 식감과 단맛이 풍부하게 느껴지는 소라, 초장에 찍어 먹으면 맛이 그만이다. 이 녀석은 어디에서 왔을까? 그 출생지를 찾아 충청남도 태안 앞바다로 떠난다면 어둑어둑한 밤바다에 맞닥뜨린다. 어둑한 바다에서 환한 불빛을 비추며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 이들은 소라의 맛을 사냥하는 사람들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맑은 날에 그리운 우도 해초비빔밥”
    통영 우도에는 200년이 된 동백나무도 있고, 맛있는 해초비빔밥도 있다. 그날그날 바다에 나가 필요한 양만큼 해초를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해초비빔밥을 먹으려면 예약 필수다. 청각, 모자반, 까시리, 서실, 미역, 톳 등 그날 딴 해초를 밥에 올리고 양념장에 쓱쓱 비벼 먹는다. 이 외에도 거북손, 따개비, 홍합, 고둥 등을 바닷가에서 직접 채취하는데, 그 모습을 보면 산에서 산나물을 뜯듯 똑똑 따낸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한 상에 담아낸 바다의 풍요로움, 통영 다찌
    통영의 특별한 술 문화를 한 상에 담아낸 다찌는 술과 함께 나오는 20가지가 넘는 싱싱한 해산물이 주를 이루는 다양한 안주로 구성된 상차림을 의미한다. 관광객에게는 그 푸짐함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지만, 그 푸짐함은 통영 앞바다 어부들의 고단함이 만들어낸 것이다. 어부들의 고단함을 품어주던 다찌는 푸짐함과 정겨움을 찾아오는 도시 사람을 위한 통영의 음식문화로 자리 잡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통영시

    모양은 삐뚤지만 맛은 올바른 ‘삐뚤이 소라’
    이름만 들어선 영 삐딱한 녀석인 듯 싶다. ‘삐뚤이’, 혹은 ‘삐뚜리’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는 갈색띠매물고둥은 참소라에 비해 작고 볼품없지만, 맛이 좋다. 삐뚤이 소라 숙회는 탱글탱글한 식감이 좋고, 잘근잘근 씹을수록 잘 익은 과일먹듯이 몹시 달며 풍부한 감칠맛이 도드라진다. 삶는 것보다는 찌는 것이 맛이 좋으며, 침샘을 제거해야한다. 설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남해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대나무로 잡은 멸치의 맛, 남해 멸치쌈밥
    남해에는 특별한 쌈밥이 있다. 일반적인 멸치와 다른 압도적인 크기와 통통한 속살을 자랑하는 최상급 멸치를 신선한 쌈 채소에 싸서 먹는 ‘멸치쌈밥’이다. ‘멸치가 다 거기서 거기지’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남해의 거친 물살을 이겨내고 전통방식을 통해 온전한 상태로 잡힌 남해의 멸치는 멸치 중에서도 최상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매콤한 양념에 자작하게 끓여진 통멸치와 신선한 쌈 채소의 만남이 바로 남해지역 쌈밥의 특별함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칼 같은 갈치, 풀잎 같은 풀치
    칼처럼 길고 번뜩인다고 하여 갈치, 풀잎처럼 작고 가늘다고 하여 풀치. 이름을 처음 지어준 사람에게 상을 줘야 할 정도로 표현이 재미지다. 갈치를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만, 풀치를 처음 듣는 사람은 꽤나 있을 것이다. 풀치는 어린 갈치를 일컫는 말이다. 한국인의 젓가락질은 갈치조림에서 시작한다. 날카로운 생선가시를 얼마나 능숙하게 발라내는지에 따라 그 숙련도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풀치는 한참 어린 상태이기 때문에 뼈가 약해 통째로 씹어먹는다. 8월이 되면 풀치의 금어기가 풀리면서 낚시가 시작된다. 이때 잡아 올린 풀치는 살이 별로 없어 구이용으로는 아무래도 부족한데, 이를 잘 말려두었다가 꺼내 볶아 먹으면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남해군

    맛집 육수 비장의 카드, 솔치
    건어물 시장에 가서 좌판 구경을 하다 보면, 멸치 옆에 조금 더 뚱뚱한 녀석들이 놓여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조금 더 큰 멸치인가 싶다가도 자세히 보면 그 모양새가 조금 다르다. 해물 육수를 낼 때 인기가 좋은 멸치, 밴댕이(디포리), 그리고 솔치 삼총사다. 솔치는 어떤 한 어종의 이름이 아니라, 청어의 새끼를 일컫는다. 개체가 작을 때에도 기름지고, 고소해서 남해 사람들은 7~8cm 정도 크기의 솔치를 멸치처럼 마늘종과 함께 볶아 밥반찬으로 먹고는 했는데, 이제는 법이 바뀌어 보다 큰 솔치만을 어획할 수 있게 돼 육수용 솔치만을 구할 수 있다. 솔치는 해물 육수를 우려낼 때 달인들의 비법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부여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부여군

    백제의 정취를 음식에 담아낸 부여 연잎밥
    연잎밥은 연잎에 찹쌀과 대추, 밤, 은행, 잣 등 곡식을 넣고 찜통에서 쪄낸 부여의 대표적인 건강 음식이다. 부여에서 생산된 건강한 식재료에 오랜 시간과 정성이 더해져 만들어진 연잎밥은 연잎에서 배어 나온 은은한 향과 맛이 일품이다. 부여의 연잎밥이 더 특별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부여 곳곳에 스며있는 백제의 정취가 음식에 고스란히 담겨있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광주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광주 >북구

    ‘남도향토음식박물관’, 음식의 ‘게미’란 바로 이런 것
    남도향토음식박물관은 눈이 즐겁고, 입이 행복한 박물관이다. 음식 맛있기로 소문난 전라남도의 풍부한 식재료와 지역민들의 미각이 탄생시킨 다양한 먹거리 문화를 소개하고 전통음식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2011년도에 문을 열었다. ‘남도향토음식전시실’과 ‘광주향토음식전시실’을 갖췄고, 어린이를 위한 수라간 체험 공간이 마련돼 있으며, ‘게미[전라도 방언으로, 씹을수록 진해지는 음식의 깊은 맛을 뜻함]’진 남도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쿠킹클래스도 운영 중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목포 향토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목포시

    오독오독 씹어먹는 재미가 있는 등택어찜
    항구 도시는 수많은 배와 물자, 그리고 사람이 오고가 활력이 있다. 많은 물류가 모이기에 다른 곳에서는 쉽게 보지 못하는 음식도 있고, 많은 사람이 모이기에 집집마다 다른 손맛을 자랑하기도 한다. 그래서 목포는 ‘맛의 도시’다. 목포에 오면 목포 종합 수산시장의 경매 현장을 방문해서 항구도시의 활력을 피부로 느껴보자. 이때 재미삼아 찾아볼 만한 생선이 있다. 바로 등택어다. 목포하면 떠올리는 홍어와 생김새가 비슷한 등택어는 ‘홍어 사촌’이라고 불린다. 맛은 홍어와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가격은 반값이기 때문에 찾아 구매해볼 만하다. 아는 사람이 극히 적은, 숨겨진 보물을 찾는 재미가 쏠쏠하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